소개글
김승옥의 소설 무진기행, 역사, 서울 1964년 겨울을 중심으로 텍스트 분석을 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선행연구 정리
1.1. 김승옥은 누구인가?
(1) 김승옥의 연보
(2) 김승옥의 작품세계
1.2. 1960년대의 사회·문화적 배경
2. 텍스트 분석
2.1. 『무진기행』
(1) 구성 및 내용
(2) 인물 분석
(3) 배경 분석
(4) 서술상의 특징 분석
(5) 소재 분석
2.2. 『역사』
(1) 구성 및 내용
(2) 인물 분석
(3) 배경 분석
(4) 서술상의 특징 분석
2.3. 『서울, 1964년 겨울』
(1) 구성 및 내용
(2) 인물 분석
(3) 배경 분석
(4) 서술상의 특징 분석
(5) 소재 분석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인물 분석
나 (윤희중)
- 윤희중은 한마디로 현대인을 대변하는 인물이다.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고민을 하지만 결국 현실은 선택하게 된다.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서 밖으로 나오면, 밤사이에 진주해 온 적군들처럼 안개가 무진을 삥 둘러싸고 있는 것이었다. 무진을 둘러싸고 있던 산들도 안개에 의하여 보이지 않는 먼 곳으로 유배당해 버리고 없었다. 안개는 마치 이승에 한(恨)이 있어서 매일 밤 찾아오는 여귀(女鬼)가 뿜어 내놓은 입김과 같았다.
- 이 부분에서 윤희중의 심리상태를 알 수 있다. 무진의 안개를 ‘적군’ 혹은 ‘유배’, 연귀가 뿜어 내놓은 입김‘으로 묘사한다는 것은 지금 윤희중의 심리상태가 상당히 불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엇에 쫓기고 있다는 불안함, 어디론가 떠나고 싶다는 마음 등 윤희중은 지금 상당히 불안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안개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무진기행』의 공간
- 『무진기행』에는 선명하게 구분되는 두 개의 공간이 있다. 하나는 서울로 표상되는 일상의 공간이고, 다른 하나는 무진이라는 탈일상의 공간이다. 아내와 제약회사 상무 자리가 있는 서울은 비록 세속적이지만 현실적인 가치의 중심이다. 이에 비해 안개와 바다, 자살한 여인의 시체와 하인숙의 노래가 있는 무진은 몽환적이고 탈속적인 공간이다. 무진은 아름답지만 머물러 있을 수는 없는 곳이기도 하다. ‘나’에게 무진은 2박3일로 족한 것이다. ‘나’는 이미 전쟁과 실직과 실연의 쓰라림을 맛본 30대의 성년이기 때문이다. 그는 무진과 하인숙의 아름다움을 알면서도 서울과 아내에게로 가야 한다.
참고 자료
1. 정과리, 「유혹 그리고 공포-김승옥론」, 『문학, 존재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1985
2. 한상규, 「환멸의 낭만주의-김승옥론」, 『196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3
3. 정상균, 「김승옥의 서사문학사적 의의-김승옥」, 『한국최근서사문학사연구』, 집문당, 1996
4. 김명석, 「일상성의 경험과 탈출의 미학-김승옥론」, 『현역 중진 작가 연구Ⅰ』, 국학자료원, 1997
5. 천정환,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근대화의 문제」, 『한국 현대문학의 근대성 탐구』, 새미, 2000
6. 이호규, 「근대화와 일상인-김승옥」, 『1960년대 소설 연구 -일상, 주체 생산, 그리고 자유』, 새미, 2001
7. 김혜니·김은자·송선령,『꼭 읽어야 할 소설119 (6)』, 타임기획, 2004
8. 신형기, 「분열된 만보객-김승옥의 소설 읽기」, 『이야기된 역사』, 삼인, 2005
9. 백문임·송태욱·송은영·이정숙·조현일·조성진·한영주, 『르네상스인 김승옥』, 앨피,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