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
2. 밀교의 개념과 그 분류
3. 우리나라에서의 밀교의 전래와 그 수용 과정
4. 고려시대 밀교의 전개 과정
5. 고려시대 밀교의 관련 신앙
6. 고려시대 밀교 종파
7. 고려시대 불교의식과 밀교의 관계성
8.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신라를 뒤이어 후삼국을 통일하고 역사의 무대로 등장한 나라는 고려였다. 고려가 비록 국가 명에서도 잘 나타나듯이 고구려의 계승의식을 표명하였으나 고려는 여러모로 전 시기인 신라의 상당한 영향을 받아야만 했다. 그것은 고구려가 이미 몇 백 년 전에 멸망한 까닭에 그 문화가 직접적으로 고려에 이어지지 않고 신라의 문화 융합에 의한 간접적으로 전해진 까닭도 있겠지만 지금의 우리가 아직도 조선시대의 영향이 상당부분 존재 하는 것처럼 그 당시의 고려 또한 좋던 싫던 신라의 영향을 받아야 했기 때문이었다.
불교라는 사상적인 부분도 마찬가지였는데 신라시대에는 밀교가 이미 많이 성행하고 있었으며 그것은 호국호법의 신으로서 국난타개를 위한 것이었고 신라에 들어온 모든 교리는 밀교와 융합되어가며 전개 되어 갔다. 이런 신라시대의 밀교에 관련된 그런 부분들은 그 이후 시대인 고려시대에도 상당부분 많은 영향을 주게 되었으며 특히 고려 태조 왕건 또한 밀교와 많은 연관을 맺고 있었다.
그런 까닭에 고려에서 밀교는 국가적, 정치적이나 사상적 입장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고 한국불교 사상사적으로도 간과할 수 없는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므로 고려시대의 밀교를 이해하지 못하면 한국불교사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으며 고려에 있어서의 불교를 위시한 정치적, 사회적 사상의 완벽한 정립까지도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고려시대에 간과할 수 없는 위치에 놓인 밀교란 무엇이며, 그것은 고려시대에 어떤 식으로 그 사상과 의식이 전개되어 나갔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밀교의 개념과 그 분류
1) 밀교의 개념
밀교는 비밀불교를 약칭한 말로써 인도사회에서의 불교교단의 침체와 반대로 바라문교가 불교의 장점과 민간신앙까지 포섭하여 번창하게 되자 이에 대응하여 힌두교사상과 민간신앙을 수용하여 불교적 재정립을 시도하는 가운데에 성립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밀교는 불교 내의 어떠한 사상이나 교의와도 서로 상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역사와 문화를 달리하는 지역의 민간신앙과도 잘 어울릴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참고자료
· 김상대, 「신라시대 가람의 구성원리와 밀교적 상관관계 연구」, 홍익대 대학원, 2004
· 김현남, 「한국밀교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종교사학회, 1998
· 박상균, 「밀교의 인도 고대사상 수용에 관한 연구」, 동국대 교육 대학원, 1992
· 불함문화사, 『한국불교학연구총서』 12권, 불함문화사, 2003
· 서윤길, 「밀교의 교학적 위상과 그 특성」『한국불교학』, 한국불교학회, 1995
· 서윤길, 『고려밀교사상사연구』, 불광출판부, 1993
· 여동찬, 「고려시대 호국법회에 대한 연구」, 동국대 대학원, 197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