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고려속요의 명칭 및 범위
2)고려속요의 특질 및 성격
3)형성배경
4)작가와 향유계층
5) 정과정의 작품분석
가.「정과정곡」의 창작과 그 의의
ㄱ) 한문학 융성기의 「정과정곡」과 그 의의
ㄴ) 「정과정곡」의 한역과 그 의의
ㄷ) 다른 속가에 미친 영향과 그 의의
나. 전통정서의 계승과 표현 양태
다. 향가 형식의 계승과 그 의미
라. 「정과정곡」에 나오는 화자
본문내용
1)고려속요의 명칭 및 범위
고려속요는 고려시대의 「靑山別曲(청산별곡)」,「가시리」,「動動(동동)」,「西京別曲(서경별곡)」등과 같이 ‘속악의 가사’로 사용된, 우리말로 불려진 시가류를 지칭하는 말이다. 그런데 고려가요의 명칭은 다양하다.
첫째로 ‘고려가요’나 ‘고려가사’라는 명칭은 여대가요나 이를 줄여 여요라고 하기도 하는데, 이들은 같은 유형의 명칭이다. 이 말은 고려시대에 존속해 있던 잡다한 여러 갈래의 노래, 즉 향가 ․ 시조 ․ 경기체가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둘째로 ‘장가’라는 명칭은 속가의 형태상으로 대부분 장형이기 때문에 붙여졌다. 즉 「동동」․「쌍화점」․「서경별곡」․「청산별곡」등 일군의 시가가 ‘다연체’의 긴 형식을 취하고 있는 데서 장가라는 명명된 것이다.
셋째로 ‘별곡’이란 명칭은 두타산거사(頭陀山居士) 이승휴의 『帝王韻紀(제왕운기)』권하 신라조에 처음 나온다. 그리고 고려의 노래에는 「한림별곡」으로 대표되는 경기체가와 「청산별곡」등 여러 속가의 명칭에 두루 사용되고 있다. 별곡이란 말은 본래 정곡으로 내려오는 가곡 ․ 창조가 송사악의 영향으로 형식이 달라지자 가곡 ․ 창조를 약간 변조하여 부르게 된 것을 별곡이라 칭한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로 ‘속요’란 명칭은 ‘속악가사’가 내용면에서나 형태면에서 민요의 한 종류인 속요적 요소를 많이 갖고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속요라 하면 민중 계층에 떠도는 노래로서 내용이 비속하고, 단순히 입으로만 불려지는 민요의 한 종류일 뿐이지 궁중에서 속악가사로 쓰인 악장은 아니다.
다섯째로 ‘속가’란 명칭으로 불리기 한다.
원래 속가라 하면 「청춘가」․ 「수심가」․ 「육자배기」등 민요의 한 종류인 잡가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어디까지나 민요의 한 종류일 뿐이지 궁중에서 속악의 가사로 쓰인 악장은 아니다. 즉, 일반적인 민간의 속가가 민중 계층에서 부른 저급의 가요인데 반하여, 여기에서 언급되는 속가는 궁중이란 특수한 장소에서, 왕을 중심으로 한 지배계층에 의하여 향유된 속악이 가사이므로 사전적 의미의 일반민요인 속가와는 다른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