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는 음향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시키는 기기로 전기 신호 처리의 제 1단계이며 소리의 입구이다. 이러한 마이크의 역할 때문에 소리의 완성에 있어서 최후 까지의 음질을 좌우하는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우수한 믹서 일수록 마이크의 선택에 신중하며 그 선택 또한 어렵다. 그저 가격이 비싼 마이크가 무작정 좋다고 말할 수도 없으며 각각의 특성을 따져 보고 적절한 곳에 사용하여야 한다.
1. 마이크의 원리
마이크의 원리는 기본적의로 음파의 크기에 따른 진동판의 변화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것이다. 그 방식으로는 전기 저항 변화, 자기 변화, 압정 변화, 정전 용량 변화 등으로 구분 된다.
㉠ 전기 저항 변화형 마이크
카본 마이크가 대표적이다. 절연 케이스 내에 카폰 입자를 넣고 그 양단에 운모 막을 배치한다. 음압에 의해 움직이는 이 운모 판은 카본 입자의 전기 저항을 변화 시킨다. 그 결과 카본에 흐르는 전류(전지 또는 다른 전원에서 공급 된다)는 소리의 파형에 비례한 변조를 받는다. 이 전기 변화를 출력으로 사용한다. 대단히 튼튼 하지만, 주파수 범위가 대단히 좁고 지향성을 갖추기가 곤란하므로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사용 예 ; 전화기의 송화기 ← 요즘은 별로 사용 하지 않는다.
㉡ 압전형 마이크
어떤 물질에 압력을 가하여 변화시키면 전압이 발생한다.(피에조 효과) 이러한 물질( 예;수정)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마이크이며, 주파수 범위가 한정적이며 무지향성 이다. 크리스털 마이크가 대표적이며 튼튼하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여 가격이 싸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