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재 알코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는데 비하여 알코올성 장애를 정신과적인 질환으로 인식하는 율은 낮은 편이고 알코올중독을 병으로 보기보다는 그저 술을 많이 마시는 정도로 관대하게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증가하는 알코올중독 환자로 인하여 한국의 정신건강 전문가들도 점차 알코올 문제의 해결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치료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알코올중독에 대한 이해
2. 알코올중독자의 치료 방안
3. 알코올중독자를 위한 목회상담
Ⅲ. 결론
본문내용
한국인 또한 전통적으로 술을 많이 마셔 왔으며 알코올의 소비량이 세계에서 아주 높은 나라로 알려져 있다. 음주에 허용적이고 비교적 관대한 문화를 가진 우리나라에서 알코올중독의 문제는 각 개인의 질병이나 의지의 문제로 간과되었고, 아직까지도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나 보호는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음주 실태 및 알코올중독에 대한 전국규모의 역학조사는 아직까지 시행되지 못했으나 한국 성인 한사람의 알코올 소비량이 소주 161병(2홉들이 기준)이나 되고, 알코올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연간 13조원으로 나타났다.현재 알코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는데 비하여 알코올성 장애를 정신과적인 질환으로 인식하는 율은 낮은 편이고 알코올중독을 병으로 보기보다는 그저 술을 많이 마시는 정도로 관대하게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증가하는 알코올중독 환자로 인하여 한국의 정신건강 전문가들도 점차 알코올 문제의 해결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치료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알코올중독은 한 개인의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사회 심리적 기능,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영적, 가족적 기능 등에 심각한 손상을 가져오는 우리사회의 대표적인 정신건강 문제이자 사회문제이다. 알코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적 과제는 알코올중독자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사정에 따른 적절한 개입전략의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알코올중독의 심각성을 깨닫고 알코올중독자의 치료와 함께 적절하게 돌보고저 하는 목적을 갖고, 알코올중독에 대한 상담 및 목회적 치료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강경호. 「중독의 위기와 상담」. 경기: 한사랑가족상담연구소. 2002.고병인. 「중독자가정의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2003.
김창석. 「정신장애와 상담기법」. 서울: 도서출판 사목연구원. 1990.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2004.
박종암. 「알콜중독자의 내적갈등과 치유전략」. 경기: 나사로. 1997.
반피득. 「목회상담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8.
이정균. 「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1994.
이영국. 「술 권하는 사회 술에 먹힌 사람」.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김응조. 「성서대강해」 제10권 . 경기: 성결대학교 출판부. 2001.
전요섭. 「사이버심리와 목회상담」. 안양: 성결대학교 출판부. 2000.
Mathew Henry. 소창길 역. 「메튜헨리 주석시리즈」 제20번. 서울: 기독교문사. 1991.
The Oxford Bible Interpreter. 「옥스포드 영어성경대전」 121:갈라디아서 ․ 에베소서. 서울: 제자원. 2001.
John Calvin. 「칼빈성경주석」. 존칼빈 성경주석출판위원회 역. 제9권.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90.
Collins, Gary R. Christion Counseling. 피현희 ․ 이혜련 공역. 「크리스챤카운슬링」. 서울: 두란노. 1984.
Stone, Howard W. Crisis Counseling. 오성춘 역. 「위기상담」.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Wynn, John C. Family Therapy in Pastoral Ministry. 문희경 역.「가족치료와 목회상담」.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Litchfield Bruce & Litchfield Nellie. Christian Counselling and Family - Volume4. 정동섭 ․ 정성준 역.「기독교상담과 가족치료」. 서울: 예수전도단. 2002.
김재옥. “한국인의 음주양상” 「문화와 주정중독」. 연대의대 알코올 중독치료와 재발방지에 관한 세미나. 1992.
김인혜. “알코올 가정에 대한 가족체계론적 접근.”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김기원. “목회상담에 있어서 알코올리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 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1997.
구본용.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집단상담의 활용현황”「학교상담에서의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활용」. 서울: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88.
윤정섭. “금주동맹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주정중독환자의 병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림대학교 대학원. 1991.
단주친목.「단주친목(A․A)이란 무엇인가?」. 서울: 단주 친목 연합단체 한국지부. 1986.
장수미.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자존감 고취를 위한 단기 집단치료 프로그램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조성봉. “알코올 중독자를 위한 목회적 치료방안.” 석사학위논문: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