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불교의 위대한 사상가이자 대저술가인 원효의 사상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그의 심오한 불교철학인 정토관에 대해 중점적으로 이해해본 레포트.
그의 저술과 고대 문헌을 통해 본 원효사상에 대하여 심도있게 쓴 글.
목차를 참조해주세요.
목차
Ⅰ. 들어가는 말
1. 화쟁사상
2. 一心思想
3. 華嚴思想
4. 淨土思想
Ⅱ. 元曉의 淨土觀
1. 淨土의 四門
1) 淨不淨門
2) 色無色門
3) 共不共門
4) 漏無漏門
Ⅲ. 원효의 정토관련 저술
Ⅳ. 元曉의 淨土 信行
1. 阿彌陀經疎와 無量壽經 宗要의 大義에 나타난 淨土觀
1) 원효의 佛說阿彌陀經疏 大意
2)阿彌陀經疎 대의 와 무량수경종요의 대의 비교
Ⅴ. 三國遺事에서 원효와 관련된 淨土運動
1. 元曉不覇에서
2. 蛇福不言에서
3. 廣德과 嚴莊에서
Ⅵ. 나가는 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원효는 우리나라 불교의 위대한 선사로서 위대한 사상가이자 학자 및 대저술가이며 그 사상의 심오함을 다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깊이 있는 불교철학을 구축했다. 특히 그의 사상은 화쟁(和諍), 정토 사상, 여래장 사상, 화엄 사상, 일심 사상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 부분들은 전체 안에서 결국 모두와 연결되는 긴밀한 연관관계 속에 놓여 있다. 그리고 그의 사상은 무애 자비행을 행했던 그의 삶과 결코 떨어뜨려 생각할 수 없는 것으로 오히려 그의 삶을 통해 그 사상의 핵심을..
1. 화쟁사상
중국에서 종파적 편견을 가지고 시도해 오던 교상판석의 입장을 지양하고, 교리적 쟁론을 불식시켜려는 입장에 섰던 원효는 17종의 宗要를 서술하였는데 宗은 多로 전개하는 것이고, 要는 多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다. 宗要는 곧 開合의 논리인데 이는 불타의 정신은 다양하게..
Ⅱ. 元曉의 淨土觀
원효의 淨土思想 연구의 기본 자료는 매우 한정적이다. 淨土思想의 특성이 다른 敎學과는 달리 他力 救濟的이기도 하지만, 다른 敎學들의 思想과 연결되기가 쉽지 않은 것도 이러한 점의 한 이유가 된다. 가장 잘 알려진 그의 淨土 敎學書인 『遊心安樂道』는 引用書의 문제와 다른 撰述書들의 전체적인 인용 등으로 그의 眞撰이 의심되고 있고, 『阿彌陀經疏』는 본격적인 淨土敎學의 분석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그의 淨土敎學의 思想을 온전히..
Ⅳ. 元曉의 淨土 信行
1. 阿彌陀經疎와 無量壽經 宗要의 大義에 나타난 淨土觀
1) 원효의 佛說阿彌陀經疏 大意
전문과 해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Ⅴ. 三國遺事에서 원효와 관련된 淨土運動
삼국유사를 쓴 一然(1206~1289)은 어린 나이에 九山禪門으로 유명한 陳田寺에서 大雄에게 得道하고..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