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무역결제시스템에 관한 조사(개념,종류,문제점,해결방안)
- 최초 등록일
- 2007.04.25
- 최종 저작일
- 2005.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논문을 주로 참조한 레폿 입니다
교수님이 논문형식으로 쓰라고 하셔서 나름 노력해서 썼던것인데 A+받긴 했습니다ㅋ
마지막에 개인적 생각등 적어서 제출하시면 될듯합니다 ㅋ 좋은하루 되세요
목차
제 1 장 서론
제 1 절 전자결제 발생과 특징
제 2 장 전자무역결제시스템
제 1 절 무역카드(TradeCard) 결제시스템
제 2 절 볼레로(BOLERO) 결제시스템
제 3 절 SWIF 결제시스템
제 3 장 결론
본문내용
1. 전자무역결제시스템의 문제점
-정보보안 문제
인터넷 사용자를 기반으로 하여 전자상거래는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상품의 판매나 그 대금의 지급, 기업 및 제품 광고, 신문과 잡지 기사등 정보 제공서비스, 홈뱅킹/펌뱅킹을 비롯한 금융 거래나 주식 매매, 보험 서비스 등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자상거래의 보안은 전자상점이나 금융기관의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도구 외에도 거래 대금의 지급서비스와 관련된 네트워크상의 상거래 구성요소인 사용자, 전자상점, 금융기관의 인증, 지급수단의 유효성과 한도액 확인, 개인 정보의 보호를 위한 전송 데이터의 암호화 등 금융업계의 장점을 수용하여 개발되는 것이 특징이다. 사실 보안기술은 모든 사람이 정직하고, 아무도 속이지 않는다면 필요치 않을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가 못하고 규칙의 위반이 존재 하기 때문에 보안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 등의 오픈된 네트워크 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에서는 통신 상대의 본인 확인이 중요하다. 직접 거래는 물론 전화 상의 거래의 경우 신분 증명이나 육성, 거래 상대의 말투 증에서 본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서류에 의한 거래에서도 사인이나 인감으로 문서의 정당성을 명확히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전자 데이터의 교환이고 실세계에서의 거래와 비료해 볼 때 본인 확인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본인을 가장한 해커에게 비밀 정보나 전자적 벨류를 절취 당할 위험도 있는것이다. 따라서 인증 기술은 통신 상대와 데이터 자체가 진짜인가 아닌가를 네트워크 상에서 확인하기 위한 기술로 본인을 가장한 범죄의 강력한 대항수단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
참고 자료
공정열, “전자무역결제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단국대 대학원 2002
김용재외 2인 공저, ‘전자(인터넷사이버)무역’, 두남(2001)
이남구외 2인 공저, ‘디지털 시대 세계무역’, 무역경영사(2001)
김영래 외 6인 공저, ‘전자무역의 이해와 전개’, 브레인코리아(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