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정신분열증 케이스스터디
- 최초 등록일
- 2007.04.15
- 최종 저작일
- 2007.04
- 5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정신분열증에 대한 참고문헌 간호과정 간호진단7개 짜리 입니다..
정신분열증을 케이스잡은신 분은 이거 하나만으로도 충분 할거예요!!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1) 정신분열증이란
2) 정신 분열증의 원인
3) 정신분열증의 증상
4) 정신 분열증의 유형
5) 정신 분열증의 진단
6) 정신분열증의 치료
7) 간호중재
8) 경 과
9) 예후
Ⅱ. 본론
1. 자료수집
1) 환자사정
2) 환자소개
3) 현병력
4) 과거병력
5) 성장 발달 중 특기 사항
6) 가족력 7) 신체검진
8) 정신적 상태
9) 임상병리 검사
10) 의사의 치료 계획
2. 간호문제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정신분열병은 인종, 종족집단, 성별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미국의 경우 인구 100명당 1명, 즉 2백 5십만 명이 정신분열병을 앓고 있고 환자의 75%가 생산성이 가장 왕성한 17~25세의 나이에 발병하여 그 중 95%가 평생 동안 그 병을 앓게 된다.
정신분열병의 환자 25%는 회복이 불가능하고 50%는 일생의 대부분을 무능력한 상태로 증상을 지니고 살아간다. 또한 환자들 중 20~50%는 자살을 시도하고 이 중 10%는 자살로 이어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평생 유병률은 약 1%정도이고 새로운 환자 발생빈도는 인구 100명당
1명 정도 이다. 입원환자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많고, 낮은 사회경제적 계층에서 많으며 이는 병으로 인해서 낮은 계층으로 이도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듯 정신분열증은 이제 우리 생활에 있어 결코 막연한 질병이라 할 수 없으며, 환경적인 스트레스요인들이 늘어감에 따라 누구에게든지 발병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한 질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 주위에서는 정신분열증을 하나의 질병으로 보기보다는 잘못된 편견과 오해에 사로잡혀 안 좋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그로 인해 제대로 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더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흔히 정신분열증은 인격의 황폐화를 가져오거나 귀신이 씌이거나 지능저하를 일으킨다든지, 유전병이고 폭력적이며 불치병이라고 말하지만 모두 이 병에 대한 오해와 편견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병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의 장애로 생기기 때문에 마치 감기가 누구나 걸릴 수 있듯이 이 병도 누구라도 쉽게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이 병은 생산성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이차적인 신체적 문제를 일으켜,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장애를 일으키는 10대 질병중의 하나라고 발표했다.
참고 자료
- 이은옥 외 6名 (1999),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부, 288-300
- 이웅현 (2006), 정신분열증, 3rd Edition 정신간호학, 퍼시픽 출판사, 67-78
- 이광자 외 (2006), 정신분열장애 간호, 제5판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98-332
- 이평숙외( 2002), 정신건강간호학 2, 정신분열증, 신광출판사, 178-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