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에 캠퍼스 수석으로 졸업하였고 현재는 서울대 의과대학에 재학중입니다.
재학중에 작성했던 레포트를 모두 PC에 저장해 두었는데, 자료정리 차원에서 이렇게 등록합니다.
미생물학 시간에 작성했던 보고서로, 소독과 살균에 관한 정의, 방법, 종류 및 기전을 총망라한 내용입니다.
내용 중간에 칸이 띄어져 있는 부부은 참고서적의 그림부분을 붙였던 부분이니, 관련그림을 첨부하시면 더 좋을 듯 합니다.
2005년에 캠퍼스 수석으로 졸업하였고 현재는 서울대 의과대학에 재학중입니다.
재학중에 작성했던 레포트를 모두 PC에 저장해 두었는데, 자료정리 차원에서 이렇게 등록합니다.
미생물학 시간에 작성했던 보고서로, 소독과 살균에 관한 정의, 방법, 종류 및 기전을 총망라한 내용입니다.
내용 중간에 칸이 띄어져 있는 부부은 참고서적의 그림부분을 붙였던 부분이니, 관련그림을 첨부하시면 더 좋을 듯 합니다.
목차
저작권 확인하였습니다. 재검토 하시기 바랍니다.
1. Disinfection의 정의
* 멸균(Sterilization)
* 소독(Disinfection)
* 방부(Antiseptic)
2. 소독에 필요한 조건
1) Physical agent
① 열
② 자외선
2) Chemical agent
① 물
② 온도
③ 농도
④ 시간
3. 소독제의 결정요소
1) 살균효과가 우수할 것
2) Stability이 있을 것
3) Solubility이 높을 것
4) 고등동물 조직에 대한 독성이 낮을 것
5) 부식성과 표백성이 없을 것
6) 침투력이 강할 것
7) 방취력이 있을 것
8) 기타 가격이 싸고 사용이 간편할 것
1. Disinfection의 정의
소독(disinfection)이란 강한 살균력을 작용시켜 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즉, 병원미생물을 죽이거나, 또는 반드시 죽이지는 못하더라도 활동하지 못하도록 감염력을 억제하는 조작을 말하며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살균은 모든 미생물을 대상으로, 세균을 완전히 죽여서 무균상태로 하는 조작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병원성 미생물은 외계에서는 저항력이 약하므로 비병원성의 미생물을 죽이는 조건 보다 쉽게 죽일 수 있다. 미생물은 그 종류에 따라 살균작용에 대한 저항력이 다르며, 특히 포자 형성균의 경우에는 보통의 살균조건에서는 휴면상태로 있다가 조건이 좋아지면 다시 증식을 하게 된다. 또한 같은 종류의 세균이라 해도 식품, 혈액, 가래, 분변 등의 단백질과 공존할 경우에는 생리식염수에 현탁되어 있을 때보다 훨씬 저항력이 강해진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병원균이 전염될 때는 단백질과 공존해 있을 경우가 보통이므로 살균조건은 그 대상, 또는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살균, 또는 소독방법이 이용되어야 한다.
* 멸균(Sterilization) - 강한 살균력을 작용시켜 물체에 있는 모든 병원성 및 비병원성, 포자를 가진 것을 전부 사멸시키거나 또는 제거하는 것이다.
* 소독(Disinfection) - 비교적 약한 살균력을 작용시켜 병원미생물의 성정을 저지하거나 파괴함으로써 감염의 위험성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멸균과 같이 아포까지 사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감염력을 없애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독의 결과로 비병원성 미생물이나 아포는 살아남을 수 있다.
* 방부(Antiseptic) - 병원성 미생물의 발육과 그 작용을 제지하거나 정지시켜서 음식물의 부패나 발효를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2. 소독에 필요한 조건
1) Physical agent
① 열
열에는 건열과 습열의 종류가 있는데 소독 대상물을 일정한 온도까지 높여 되도록 빨리 온도가 소독 대상물의 내부까지 침투할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한다. 습열은 열에 의한 살균으로 수분이 단백질의 변형을 시키므로 수분이 많은 쪽이 온도가 낮아도 응고되기가 쉽다.
② 자외선
자외선은 직접 조사되는 곳에는 강한 작용을 나타내지만, 그늘진 곳에서는 거의 작용하지 않으므로, 소독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참고자료
· ◈ Reference
· ㆍ 서정훈, 1997, 현대미생물학, 螢雪出版社
· ㆍ 김관수, 1994, 미생물학, 대광문화사
· ㆍ 배무, 1991, 미생물학, 아카데미 서적
· ㆍ 박석기 외 5인, 1997, 최신 미생물학실험, 신광문화사
· ㆍ 한국미생물학회, 1998, 미생물학 실험서, 을유문화사
· ㆍ 박석기 외 5인, 1995, 최신 미생물학, 신광문화사
· ㆍ 김신무 외 6인, 1996, Standard Pathogenic Microbiology, 고려의학
· ㆍ 김영권, 2001, Medical Microbiology, 청구문화사
· ㆍ Prescott외 2인, 2002, Microbiology(fifth edition), Mc Graw Hill
· ㆍ 홍순우, 1992, 미생물학, 광림사
· ㆍ 김계엽 외, 1999, 병원 미생물학, 현문사
· ㆍ 이강만, 2000, 항생물질학, 라이프사이언스
· ㆍ 구성회 외, 1999, 공중보건학, 고문사
· ㆍ 한영숙 외, 2000, 소독․전염병학, 수문사
· ㆍ 박인국, 2001, 생화학, 라이프사이언스
· ㆍ McMurry, 1999, John, 유기화학, 自由아카데미
· ㆍ 서정헌, 1994, 생물 유기화학, 民音社
· ㆍ Solomons, T. W. Graham , 1993, 솔로몬 유기화학 汎韓書籍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