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열풍][한류][한류활용][한류스타][드라마][영화]한류열풍의 배경, 문제점과 각 나라의 한류 고찰 및 한류활용 성공 사례(한류형성의 배경, 각 나라의 한류, 한류열풍의 문제점, 기업들의 한류 활용과 성공사례)
- 최초 등록일
- 2007.03.18
- 최종 저작일
- 2007.03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한류열풍의 배경, 문제점과 각 나라의 한류 고찰 및 한류활용 성공 사례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한류형성의 배경
1. 태국
2. 베트남
3.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Ⅲ. 각 나라의 한류
1. 중국
2. 일본
3. 대만
4. 베트남
5. 태국
Ⅳ. 한류열풍의 문제점
Ⅴ. 기업들의 한류 활용과 성공사례
1. 대한항공 (KAL)
2. VK Mobile (브이케이 휴대폰)
3. LG생활건강-라끄베르
Ⅵ. 결론
본문내용
서구문화가 세계문화로 인식된 것은 주로 세계 각국을 식민통치하면서 인위적인 이식을 한 결과였다. 일본은 메이지유신 이후 ꡐ탈아입구ꡑ론을 기반으로 적극적으로 서구를 수용하고 아시아를 버리려는 노력을 해왔다. 그 일본의 식민지가 된 한국 또한 일본을 통해 서구문화를 받아들이고, 식민통치를 위한 일본의 전통문화 말살을 견뎌야 했다. 그렇게 강압된 서구 중심주의에 의해 동양 문화는 동양주의로 폄하되어 왔다. 서구에 의해 타자화된 주변문화로 인식되어 서구와 차별은 둔 것은 동양의 중심에 있었던 중국도 예외가 아니다.
한류는 서구 중심주의의 대안으로 제 3세계에서 최초로 떠오른 새로운 문화흐름이다. 죽의 장막 중국이 문을 열었을 때 ꡐ한류ꡑ라는 이름으로 기회를 가졌던 일본은 그 기회를 잡지 못했다. 그것은 보편성을 갖기 어려운 문화콘텐츠 자체의 문제도 있었지만, 서구 지향의 맥락 속에서 신사참배나 역사 왜곡을 계속하며 경제 위상에 걸맞지 않은 왜곡된 가치를 추구한 것이 주요 원인이 되었을 거라고 본다. 한국이 92년 중국과 수교를 한 후 93년에 가 방영되었다. 한류를 위해 한중수교를 한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한류의 시기는 절묘했다. 그러나 일견 절묘하게 보이는 한류 진출 시기는 민주화과정으로 준비한 끝에 맞은 필연적인 시기의 도래라는 이면이 있다. 민주화과정을 통해 쟁취한 표현의 자유로 한국인의 실생활에서도 실현된 ꡐ민주ꡑ와 ꡐ인간 존중ꡑ이라는 인류 공동의 가치를 문화콘텐츠에 담아낼 수 있게 된 것이다. 한류는 경제나 문화 침탈을 위한 강요에 의한 인위적인 흐름이 아니고 그 공동의 가치를 수용국이 자발적으로 선택한 자연발생적 흐름이다. 서구 중심주의의 강요된 실현과는 그 시작이 다르다.
중세 한국은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한문문화권에 속해 있었다. 주변 한국은 자발적으로 중심 중국의 한문 유교 문화를 받아들여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리고 중심에서 받아들인 문화로 중심을 넘어서는 발전을 이룩하였다. 중심과 주변이 이원화된 시대 중세에 중국은 그 중심으로서 중화주의를 구현하였다.
중국 대중문화 전문가들은 항한 혹은 학한의 방식으로 ꡐ師夷人之長以制夷ꡑ(오랑캐의 장점을 배워 오랑캐를 제압한다)를 말한다. 아직 중화주의의 미망에서 벗어나지 못한 중국이 서구중심주의를 대체하는 또 다른 중국 중심주의를 염원하는 것이 아닌지 점검해야 한다. 동양은 서구의 주변이 아니고, 한국은 중국의 주변이 아니다. 현대는 중심이 주변이 되고 주변이 중심이 되어 중심과 주변의 구분과 차별이 사라진 시대다. 아직도 중심이기만을 고집하며 한류를 주변문화라 하여 거부하는 것은 시대착오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이러한 경계 허물기는 더 가속화되고 있다. 다행히 항한 논의에서 보여준 중국 시청자들의 성숙한 모습은 중화주의에 안주하지 않을 것임을 보여준다.
지금은 유럽중심주의와 그 변형으로서의 동양주의와 이와 연관된 미국 중심의 가치관을 구현하는 미국 대중문화에 대한 대안이 필요한 때다. 인간 중심의 가치관을 구현하는 한류가 차별을 전제로 하는 이들 문화에 대한 대안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겨우 10년에 한류는 한문문화권보다 더 넓은 권역으로 확산되었다. 항한의 논의 또한 대부분 학한으로 귀결되고 있음도 한류가 대안 문화가 될 수 있음을 상당 부분 입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류로 염려하는 것은 자국 문화의 위축이다. 인간존중의 한류는 상대 문화의 말살이나 경제적 침략이 아닌 인류문화 발전을 의도한다. 따라서 수용국 문화 말살이 아닌 문화 부흥과 경제 상생에 기여할 것이다. 문화를 살리는 것이 경제도 살리는 길이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