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와 동북아경제협력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07.03.09
- 최종 저작일
- 1997.0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중국경제와 동북아경제협력의 이해에 대한 쓴 글입니다.
목차에서 보듯 세부적으로 조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Ⅰ. 중국경제의 현황과 전망
(1) 중국의 경제현황
1) 고도성장세를 유지
2) 경제효율의 호전
3) 균형있는 시장수급
4) 대외무역의 확대
5) 주민의 실질소득과 저축량의 증가
(2) 중국경제의 고도성장요인
1) 개발전략의 유효성
2) 초기조건
3) 시스템간의 정합성·보완성
4) 국제환경
5) 동아시아형 발전유형과 비교
(3) 성장에 따르는 문제점
1) 과열경기의 조짐
2) 고정자산투자의 급증
3) 농업
4) 인플레이션
5) 재정적자와 금융문제
Ⅱ. 중국경제의 도약의 영향
Ⅲ. 한국과 중국의 경제교류
(1) 한·중 경제관계의 급성장
(2) 한·중 무역관계
(3) 한·중 직접투자 관계
Ⅳ. 동북아 경제협력의 강화의 필요성
(1) 다자간 협력방안
(2) 문제점과 미래에 대한 전망
Ⅴ. 결 론
본문내용
4) 대외무역의 확대
`04년 말 현재 미국, 독일에 이은 세계 3대 교역국으로 전세계 교역의 6.2%를 차지하고 있으며, 1차산업과 경공업 수출비중이 크게 줄어드는 등 중국의 수출구조도 빠르게 고도화되어 가고 있으나, 중화학 업종 가운데서는 주로 전기/전자 부문의 수출만 두드러지게 발전하고 있다.
5) 주민의 실질소득과 저축량의 증가
중국사회과학원발표에 따른 2002년 중국경제지표를 살펴보면 도시주민 실질 평균 가처분 소득 증가율은 6.6%, 농촌주민 실질 평균 순수입 증가율은 3.9%,도시주민 소비 실질 증가율 11.6%,농촌주민 소비 실질증가율 4.5%,사회소비 실질 증가율은 9.9%로 나타났다. 또한 주민저축액은 81040억원(인민폐)로 증가율 9.9%를 보이고 있다.
(2) 중국경제의 고도성장요인
1) 개발전략의 유효성
우선 제일 먼저 지적할 것은 등소평이 채택한 개발 전략이 유효했다는 점이다. 모택동시대에 채택되었던 중공업우선 정책을 수정하고 소비재 생산과 제3차 산업을 재평가 한 것은 , 중국이 정상적인 발전패턴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외개방의 적극추진은 후발국으로서 ‘후발성의 이익’을 향수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선택이었고, 해외로부터의 직접투자는 대외채무를 늘리지 않고 국내투자와 기술도입을 촉진하는 적절한 방법이었다. 그것이 국내경제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해외무역을 발전시키고 직접 투자를 불러들이는 경제의 호순환 구조를 만들어냈다.
참고 자료
중국 경제발전의 이해 /김정식 편저
중국경제의 야망 / 簫芍基 지음 ; 진정미 옮김, 매일경제신문사
중국의 기업과 경제 / 이근 ,한동훈 지음 博英社
동아시아 신질서의 모색 / 경상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編. 서울프레스
동북아 경제권 : 21세기 국가경영전략 / 김성훈,김태홍,심의섭 공저, 比峰出版社
중국경제발전론 / 中兼和津次 저 ; 이일영,양문수 공역, 나남신서
中國 經濟發展의 理解 / 金正植 編著, 朝鮮大學校出版局
중국경제의 국제적 부상과 중장기 전망 / 신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