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나는 논문을 쓰면서 무엇보다 흥미로웠던 부분이 있었다. 바로 우리나라 경영의 가장 핵심적인 인물 삼성의 이건희 회장과, 어렸을 때부터 천재적인 기질을 가지고 있었던 빌 게이츠에 대한 성장과정이다.
이 두 인물에 대해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제일 처음 접하게 된 내용이 바로 성장과정 이었다. 아마 이 부분을 흥미롭게 읽어서 뒤의 부분도 지루하지 않고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본 논문에서는 이건희와 빌 게이츠를 두고 리더십 비교와 또한 그들이 회사를 경영하는 특징에 대해서, 그리고 리더십 계층 중 5단계에 속하는 근거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4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장에서는 논문의 구성에 대해서 개괄적인 사항 및 전개 방식을 서술하고 있다.
두 번째 장에서는 리더십의 이론적인 배경인 경영학에서의 리더십 배경과 리더십의 개념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세 번째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핵심 적인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먼저 이건희와 빌 게이츠의 성장과정을 간단하게 전개하고, 이 둘의 회사경영 스타일과 그들의 리더십에 대해서, 그리고 리더십 계층 5에 속하는 근거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장에서는 위에서 다룬 연구에 대한 한계점과 논문을 쓰면서 느낀 점을 서술하고 있다.
Ⅱ. 리더십의 이론적 배경
1. 경영학에서 리더십의 이론적 배경 :
피들러(Fiedler)의 상황적합 리더십
【피들러의 상황이론 】
- 특성이론과 상황이론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피들러에 의해 개발되었다.(1974)
- 효과적인 집단 업적은 부하들과 상호작용하는 리더의 유형과 리더에게 영향을 미치고 통제를 가하는 상황과의 적당한 연결에 달려있다고 제안했다.
- 피들러는 LPC질문서(the least-preferred co-worker questionnaire)를 개발하였다.
이는 개인이 과업 지향적(task oriented)인지 관계 지향적(relationship oriented)인지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 그는 개인의 기본적 리더십유형은 리더십 성공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라고 믿었고,
그래서 그 유형을 찾고자 LPC질문서를 개발한 것이다.
- 이 LPC질문서는 16개의 대조적인 형용사를 포함한다.(쾌활한-쾌활하지 않은, 효율적인-비효율적인 등)
...
· - 강신일, 이창원, 「한국의 기업가 정신과 기업성장」, (자유기업센터, 1997)
· - 강준만, 「이건희 시대」, (인물과 사상사, 2005)
· - 김경수, 김공수, 「조직행동」, (법문사, 2005)
· - 김성수, 「성공한 창업자의 기업가 정신 : 세계를 움직인 경영자들」, (삼영사, 2002)
· - 김성홍, 우인호, 「이건희 개혁 10년」, (김영사, 2003)
· - 김종재, 이한재, 박춘호, 이경근, 「경영의 이해」, (박영사, 2006)
· - 문원택, 이준호, 김원석, 「헨리포드에서 정주영까지」, (한언, 1998)
· - 이상원, 「나폴레옹에서 빌 게이츠까지 리더십」, (거송미디어, 2000)
· - 이임정, http://cafe.naver.com/limjung.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9
· - 이채윤, 「삼성과 도요타, 왜 최강인가?」, (열매출판사, 2006)
· - 이현진, 「지도자의 리더십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2004)
· - 임승환, 「5대 그룹 총수의 성격분석」, (중앙M&B, 1998)
· - 주치호, 「이건희 빌게이츠 성공신화」, (한국원, 2004)
· - 짐 콜린스, 「좋은 기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