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본어를 언어적 측면에서 개관한 글입니다.
일본어의 역사뿐 아니라, 음운론, 문법론, 형태론적 관점에서 일본어의 언어적 특질을 상세히 고찰하고 한국어와 비교하였습니다.
많은 자료를 참고하여 상당히 노력을 기울인 글입니다.
목차
일본어 개관
1. 언어 개관
2. 일본어의 역사
3. 일본어의 계통
4. 일본어의 문자
5. 일본의 방언
일본어의 음운
1. 일본어의 발음의 단위
2. 일본어의 음소
3. 일본어의 운소(악센트)
4. 일본어와 한국어의 음운 대조
일본어의 문법
1. 일본어 문장의 구성
2. 일본어 단어의 규칙
3. 일본어 동사의 활용
4. 일본어와 한국어의 비교대조 - 경어법
5. 일본어와 한국어의 비교대조 - 피동, 사동표현
일본어의 어휘
1. 어휘수와 체계
2. 어휘의 구성
3. 단어의 형태
4. 특이한 어휘들
5. 관용표현
6. 우리말 어휘와의 비교대조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어휘 수와 체계
일본어는 영어나 스페인어와 비교해 많은 단어를 기억해야만 하는 언어라고 한다. 프랑스에서는 5천 단어를 알고 있으면 전 회화의 96%를 이해할 수 있고 영어나 스페인어의 경우도 이와 비슷하지만, 일본어는 회화의 96%를 이해하기 위해 2만 2천 단어를 기억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일본어는 단어의 수가 매우 많다. 일본에서는 전전에 간행된 『大辭典』의 표제어 수만 72만인데 비해, 미국의 웹스터는 60만 단어, 영국의 OED는 50만 단어를 포함하고 있다고 한다. 일본어에 이처럼 단어의 수가 많은 것은 일본인의 생활문화가 복잡하다는 데에 기인한다. 아이가 태어났을 때는 신사에서 참배를 하고, 결혼식은 교회에서 거행하며, 사람이 죽었을 때는 절에서 장례식을 하는 등, 외국의 문화가 일본인의 일상생활에는 자연스럽게 혼재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어에 어휘가 많은 보다 중요한 원인은 무엇보다도 일본어는 새로운 어휘를 만드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영어든 불어든 비슷한 발음을 가타가나로 표시하고 그것을 일본어식으로 읽으면 바로 일본어가 된다. 명사의 경우에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동사라면 ‘する(하다)’를 붙이고, 형용사는 ‘な(~한)’을 붙이기만 하면 일본어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동사의 어형이 정해져 있는 독어나 불어, 명사의 어형이 정해져 있는 에스페란토어 등에 비해 일본어는 외국어를 받아들이기가 쉽다.
2. 어휘의 구성
일본어의 어휘는 크게 나누어 고유어(和言)와 한자어, 서양어, 그리고 이들의 혼종어로 나눌 수 있다.
1) 고유어(和言)
和言이란 일본 고유어를 말하는 것으로서 언어 면에서 일본이 외국과 교섭을 갖기 이전부터 존재하던 것, (후략)
참고 자료
강영부 외, 「日本語學 要說」, 박이정, 2001.
고종석, 「감염된 언어」, 개마고원, 1999.
긴다이치하루히코, 「한림신서 일본학 총서 일본어(上)」, 황광길 역, 소화, 1997.
김공칠, 「日本語學槪論」, 평화출판사, 1978.
로이 앤드류 밀러, 「日本語의 起源」, 김방한 역, 민음사, 1985.
민광준, 「일본어 음성학 입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이덕봉 외, 「日本語學의 理解」, 법문사, 1992.
「일본어(EBS 수능 특강)」, EBS한국교육방송공사, 2003.
홍사만, 「한일어 대조 분석」, 역락, 2002.
金田一春彦 외, 「日本語百科大事典」, 大修館書店, 1988.
한국외국어대학교 조규철 교수님 홈페이지 www. japanstudy.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