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교평준화에 대한 역사적 과정과 현재의 실태 그리고 문제에 대한 대안점을 중심으로 썼습니다.
목차와 참고문헌을 포함해서 9매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교 평준화 제도에 대한 역사 재조명과 반발 과정 분석
2. 고교 평준화 제도에 따른 구체적 현상과 그 폐해
1) 학력의 하향평준화와 사교육 확대
2) 선발 집중의 병목화
3) 학교선택권 제약과 사학의 자율성 침해
4) 교육의 경쟁력, 국가경쟁력의 약화
5) 영재교육의 실패
3. 고교 평준화 제도에 대한 각계의 대안
1) 대안과 보완책
2) 폐지론
Ⅲ 결론 및 나의 견해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서론
1974년 고교 평준화 정책이 시행된 지 4반세기가 흘렀다. 고교 평준화 제도란 지역별로 고등학교 입학시험을 치러 추첨을 통해 해당 지역에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에 학생들을 나누어 배정하는 교육제도이다. 우리는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와 함께 급변하는 국제사회의 환경에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교육정책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고등학교 평준화까지도 폐지되어야한다는 목소리를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고교 평준화 정책에 대한 논란은 1974년 이 제도가 처음 도입되기 이전부터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시간이 흐르고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서 고교 평준화 정책 시행 당시에 비하면 적지 않게 개선 내지는 보완이 이루어진 오늘날에도 뚜렷한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이 제도로 말미암아 입시과열 해소와 통학용이, 계층간의 위화감 축소 등 여러 가지 긍정적인 측면도 많은 반면 교육의 수월성 추구를 어렵게 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선택권을 억제하는가하면 사립학교의 자율적 운영을 가로막는 등 경직된 측면 또한 만만치 않다는 것이 이 정책을 반대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수차례 지적되어 왔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우선, 고교 평준화 정책의 시행과정을 살펴본 후, 고교 평준화 제도로 인한 구체적 교육의 현상, 마지막으로 그에 대한 대안과 보완책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고교 평준화 제도의 역사 재조명과 반발과정 분석
고교 평준화 정책은 1972년 10월 17일 선포된 유신 상황을 등에 업고 이루어 졌다. 입시제도 개혁을 기대하는 여론에 유신정권은 신속하게 호응하여 유신 선포 1주일 후(10월24일) 당시 문교부 장관이 한 일간지와의 대담에서 평준화 정책의 구상을 피력하였고(민관식, 1975. 강태중, 2002. 04: 4에서 재인용), 그 후 한달이 조금 지나 1972년 12월에 고교 입시 제도의 근본적인 개선 방안을 연구하도록 하기 위해 문교부(현 교육인적자원부)의 위촉을 받은 학계, 언론계, 교육계 인사 15명의 전문위원으로 구성된 ‘입시제도연구협의회’가 발족되었다.
참고 자료
김진성, “교육, 문제는 많지만 대안도 있다”, 말과창조사, 2000
최대권 ․ 정인섭, “고교평준화”, 사람생각, 2002
고영규, “학교야 일어나라”, 자유지성사, 2003
박남기, “교육전쟁론”, 장미출판사, 2003
김영화기자, ‘[표류하는 국가 아젠다] <6> 고교평준화’, 한국일보, 2004/06/20
김영화기자, ‘고교평준화 교육부의 보완책’, 한국일보, 2004/06/20
김영화기자, ‘본보국민의식 여론조사’, 한국일보, 200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