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략목차
1. 서 언2. 통일의 의미와 당위성
3. 바람직한 통일관
4. 다양한 통일논의
5. 일관된 통일정책 수립과 집행
6. 통일헌법(안)의 제정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일은 궁극적으로 ▲지리적 측면에서는 국토의 통일▲정치적 측면에서는 국권의 단일화 ▲경제적 측면에서는 시장경제로의 민족경제권의 통합 ▲사회적 측면에서는 국민의 통합 ▲문화적 측면에서는 이질성을 극복하고 동질성을 회복하는 것을 뜻한다. 이처럼 통일은 다면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통일의 의미를 지리적, 정치적, 민족적 분단으로 이어진 과정과 관련해 단순화 시킨다면 이는 곧 국토도 하나(국토통일), 제도도 하나(정치적 통일), 민족도 하나(민족통일), 생활도 하나(경제.사회.문화적 통일)가 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통일을 해야하는가. 첫째는 암울한 역사를 극복하기위해서라도 통일을 이루어야 하며 이는 민족사적 요청이다. 우리 민족은 장구한 역사 속에 통합된 국가형태를 유지해왔으며 분단되어야 할 어떠한 지리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인종적 이유도 없다. 둘째 남북한의 이질화 현상과 민족동질성의 회복을 위해서도 통일은 달성돼야 한다. 오랜 분단은 남북한을 이질적인 집단으로 만들 가능성이 크다. 셋째 분단의 고통과 불안을 더이상 지속시키지 않키위해서도 통일을 해야한다. 이는 분단에 따른 민족 구성원의 아픔을 덜어주기위한 인도주의적 요청이며 아울러 전쟁의 위협과 공포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당위성을 지닌다. 넷째 21세기의 무한경쟁시대를 이겨나가기 위해서는 과도한 분단비용을 생산과 복지 증대를 위한 재원으로 전환시켜할 필요가 있다. 분단으로 인한 막대한 군사비와 국제사회에서의 소모전이나 다름없는 치열한 외교경쟁은 민족 에너지(역량)를 낭비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다섯째 세계평화와 인류공영에 이바지하기위한 민족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도 통일은 필요하다.참고 자료
1. 국문자료<단행본>
구영록, ꡔ한국과 햇볕정책: 기능주의와 남북한 관계ꡕ, 법문사, 2000.
김대중, ꡔ공화국연합제ꡕ, 학민사, 1991.
김병오, ꡔ민족통일과 남북연합ꡕ, 여강출판사, 2001.
민병천, ꡔ평화통일론ꡕ, 대왕사, 2001.
박상철, ꡔ남북연합의 법적 성격과 전망ꡕ, 한국법제연구원, 1994.
박순성, ꡔ통일논의의 변천과정: 1945-1993ꡕ, 민족통일연구원, 1993.
박찬석, ꡔ남남갈등, 대립으로 끝날 것인가ꡕ, 인간사랑, 2001.
백영철 외, ꡔ21세기 남북관계론ꡕ, 법문사, 2000.
신지호. ꡔ북한의 ‘개혁․개방’ 과거․현황․전망ꡕ, 도서출판 한울, 2000.
심지연, ꡔ남북한 통일방안의 전개와 수렴ꡕ, 돌베개, 2001.
안병준, ꡔ탈냉전기의 국제정치와 한반도통일ꡕ, 법문사, 1993.
양현모 외, ꡔ남북연합의 정부․행정체제 국축방안ꡕ, 통일연구원, 2001.
여인곤 외, ꡔ남북연합 형성을 위한 주변 4국 협력유도 전략ꡕ, 통일연구원, 2001.
천대윤, ꡔ갈등관리 전략론ꡕ, 선학사, 2001,
한승주, ꡔ남과 북, 그리고 세계ꡕ, 나남, 2000.
국토통일원, ꡔ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ꡕ, 1989.
민족통일연구원, ꡔ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이론체계와 실천방향ꡕ, 1994.
______, ꡔ조국통일을 위한 전민족대단결 10대강령과 북한의 대남정책ꡕ, 1993.
민족화해범국민협의회, ꡔ민족화해와 남남대화ꡕ, 1999.
아태평화재단, ꡔ김대중의 3단계 통일론ꡕ, 1995.
통일부, ꡔ대북정책 어떻게 추진되고 있나ꡕ, 1998.
______, ꡔ남북대화ꡕ, 제67호, 2001.
______, 통일원, ꡔ남북기본합의서 해설ꡕ, 1992.
______, ꡔ남북한 통일 대화 제의 비교ꡕ, 1993.
<논문․보고서․신문기사>
남궁영, “민족공동체 통일방안: 평가 및 시사점”, 한국통일포럼 세미나 주제논문, 2000. 7. 15.
______, “대북정책의 국내정치적 갈등: 쟁점과 과제”, 국가전략, 제7권 4호, 2001.
리영희․김남식, “특별대담: 6.15 공동선언문의 의미와 한반도 현실”, ꡔ시사저널ꡕ, 2000. 6. 29.
문정인, “김대중정부의 햇볕정책 2년 : 이상과 현실”, ꡔ평화논총ꡕ, 아태평화재단, 2000.
박건영, “대북정책의 새로운 접근”, ꡔ국제정치논총ꡕ, 한국국제정치학회, 1998.
박상철, “남북연합과 북한의 느슨한 연방제 통일방안 연구”, 새시대전략연구소 심포지엄 주제논문, 2001
백영철 편, “분단을 넘어 통일을 향해: 한국통일포럼(남)․사회정치학회(북)․남북해외학자 통
양동안, “보수주의와 신보수주의”, ꡔ자유공론ꡕ 통권 403호, 2000. 10.
우성대, “대북정책에 대한 국민적 합의 형성방안”,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제2차 통일문제 세미나 주제논문, 2001
정경환, “통일문제의 기본인식과 대북정책방향”, ꡔ통일전략ꡕ, 창간호, 한국통일전략학회, 2001.
정지웅, “힘의 변화에 따른 남북한 통일정책의 분석”, ꡔ통일안보연구ꡕ, 경기대 통일안보연구소 창간호 논문집, 2001.
정천구, “남북정상회담이후 국민 대화합 방안 모색-화해협력정책에 대한 국민지지 확보방안을 중심으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민족화해협력특위 제4차 회의 주제발표문, 2001. 5. 15.
한인섭, “국가보안법 쟁점과 남북정상회담”, ꡔ관훈저널ꡕ, 2000년 여름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 “데이터로 본 대북정책”, 2001.
2. 영문자료
<단행본>
Bandow, Doug. Tripwire: Korea and U.S. Foreign Policy in a Changed World, Cato Institute, 1996.
Cumings, Bruce, The Origines of the Korean War: Liberation and the Emergence of Separate Regimes 1945-1947, Princeton: Princeton Press, 1981.
______, The Origines of the Korean War: Vol.Ⅱ: The Roaring of the Cataract 1947-1950, Princeton: Princeton Press, 1990.
Haas, MIichael, The Functionalist Approach to Korean Reunification, New York: Praeger Publishers, 1989.
Manfred W. Wenner, The Yemen Arab Republic: Development and Change in an Ancient Land, Boulder: Westview Press, 1991.
Oberdorfer, Don, The Two Koreas : A Contemporary History, Washington, Basic Books , 2001.
Richard Armitage, Kurt M. Champbell, Robert A. Manning, Joseph S. Ny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dvancing Toward a Mature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남북한 통일정책 어떻게 바뀌어 왔나 41페이지
- [통일교육] 2002년 통일교육기본지침서 183페이지
- 한미동맹의 문제점 진단과 바람직한 방향 46페이지
- 남북정상회담이후 북한의 변화에 대한 평가 21페이지
- 통일에 대해 4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