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학]북한이탈여성의 직업지도 방향 제언
*나*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서2. 북한이탈여성의 직업특성 및 장벽
3. 북한이탈여성의 직업지도 방안
4.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1. 서우리나라는 5천년동안 단일민족으로 살아오다가 산업인력의 부족현상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외국근로자가 고용되기 시작하여 우리 문화와 다른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로 진입하는 초입에 있다. 여기서 같은 민족이면서 중국의 조선족과의 관계에서 보자면, 동포이면서도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음으로 의외의 커다란 언어장벽을 갖고 있음을 놀라곤 했다. 이러한 경험은 초반에 미숙하기 짝이 없는 대처로 사회적 논란을 가져 왔으며, 아직도 우리 문화에서 다른 문화를 수용하고 공존하는 법을 배우지를 못하였다.
이러한 미숙한 경험을 가지고 또 다른 문화, 그러니까 동포이면서 강력한 집산주의 체제에서 생활한 북한이탈주민을 받아들여야 하는데에는 이제까지의 경험이 아닌 다른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2004년도에 들어와서는 북한이탈주민은 2004년 6월 현재 1,513명이 육박하고 있으며 특히 대단위 집단으로 발생함으로서 지금까지 국가에서 대처한 방법이 안일하지 않았나 하는 되돌아봄이 있어야 하겠다.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령`에 의거하여 탈북자의 정의를 하면 탈북자란 "북한에 주소, 직계가족, 배우자,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자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의 국적을 취득하지 아니한 자"를 말한다(동법령, 제 2조 1항). 그러나 이러한 정의만을 가지고 탈북자를 정의하면 러시아와 중국 등지에서 피신하고 있는 모든 북한 탈출자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위 탈북자의 정의에서 남한에 입국하여 적응훈련을 받고 정착하고 있는 사람들만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더 쉽게 말하여 북한을 탈출하여 국내에 입국한 사람들이다. 이들에 대한 용어는 월남귀순자, 귀순용사, 귀순북한동포, 북한이탈주민, 탈북동포, 자유북한인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2004년 6월 현재 총 입국자는 5,923명이며, 1994년 이후로 탈북자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2년에는 1,141명, 2003년 1,281명이였으나 2004년 6월 현재 1,513명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01년부터 지금까지 3,763명이 입국하였으며, 남성 1,541명, 여성 2,222명으로 여성이 59.0%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대별로 보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39세 1,238명, 20~29세 1,025명, 10~19세 508명 등 10~39세가 전체 3,763명중에 2,771명 73.6%를 차지하고 있어 북한이탈주민 중 ⅔이상자가 노동생산가능 인력층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북한이탈주민의 인적자원 활용에 대한 국가적인 계획을 갖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계획은 결국, 빠른 기간 내에 그들 스스로 경제력을 갖고 정착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가져오므로서 국가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것이다.
참고 자료
강일규 외(2001). 남북한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북한근로자 인적자원 개발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강일규 외(2001). 남북한 평화공존과 남북연합 추진을 위한 직업교육훈련분야의 연계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강일규 외(2003).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촉진을 위한 직업능력개발방안, 한국직업능 력개발원
김병숙(1993). 주부노동력 활용실태와 고용확대방안,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기술 인력연구소
김병숙(1994). 유휴주부를 위한 직업훈련과정의 개발과 실험적 운영, 한국기술교육 대학교 산업기술인력연구소
김병숙(1995). 주부 및 고령자 인력재활용을 위한 고용평등운영방안, 대한주부클럽 연합회
김병숙(1996). 여성의 직업복귀와 노동시장의 과제, ‘96 남녀고용평등 심포지움, 대전YWCA 일하는 여성의 집.
김병숙 외(1999).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석향 외(2004). 북한이탈여성의 직업의식의 현황과 제언, 대한WYCA
대한YWCA연합회(1992). 기혼여성 고용촉진을 위한 단기직업훈련 확충방안
통계청(1996). 장래추계인구
통계청(2003). 한국사회지표
Beutell, Nicholas J. (1982). Interrole conflict among married women:The influence of husband and wife characteristics on conflict and coping behavi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1, 99-100.
McGinnis, Sheila K., Morrow, Paula C. (1990). Job attitudes among full-and part-time employees, Journal of Vocatonal Behavior, 36, 82-96.
U.S. Department of Labor (1993). 1993 handbook on women workers: Trends & Issues.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북한학]북한이탈여성의 직업의식 현황과 직종 개발을 위한 정책 제언 36페이지
- [여성복지론] 북한이탈주민에 여성복지 20페이지
- 여성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문제 9페이지
- [유아교육]두뇌개발 프로그램 21세기형 BR유아교육 프로그램 4페이지
- [법학]소설속의 법률문제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