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본론
1.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의 개요
2.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원리
3.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내부 구성도
4. 직렬․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
5. 전기모터의 종류
6. 하이브리드 운전시스템
7. 하이브리드의 장․단점
8.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시스템 분석
9. 하이브리드 엔진
10. 니켈 메탈 하이브리드 배터리
11. 배터리/축전지의 종류별 비교/분석
12. 하이브리드의 연비향상요인
13.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망
14. 일본의 개발동향
15. 일본메이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비교
16. 일본 정부의 정책 동향
17. 미국의 개발 동향
18. 유럽의 개발 동향
19. 국내의 개발동향
20. 우리정부와 기업의 대책
본문내용
Ⅰ.서 론
■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발의 필요성의 인지
ㅇ 19세기말 영국의 데이비드에 의해 처음으로 전기자동차가 실용화 되었다. 그러나 이때는 많은 발전이 없었고 1950년경에 대기오염의 문제로 다시 개발되었다.
내연기관은 아주 큰 용량의 동력이 발생되지만 연료가 연소된 결과로 유독한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대기오염이 심화되었고, 이것 때문에 1950년 미국의 마스키 상원의원이 대기청정법 개정안을 의회에 제출하였다. 이것이 소위 마스키 법이며 이것을 계기로 배출가스 규제치를 벗어나는 자동차는 미국 내를 주행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 저공해 자동차의 연구에 시발점이 되었다. 1950년대에 일본에서는 전쟁직후 연료 부족에 따른 전기자동차 개발에 많은 노력을 가하여 3000여대에 달하는 전기자동차를 생산, 사용하였다. 1970년에는 세계적인 오일쇼크로 인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기자동차가 전 세계적으로 다시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나 1980년대에는 침체 상태로 많은 발전이 없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 대기오염의 주범이 내연기관의 배출가스이며 지구온난화와 오존총의 파괴와 같은 환경오염의 심각한 위협원인으로 인식하게 되어 1990년 10월 28일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ZEV(zero emission vehicle) 규제법이 개정되었다. 이 규제법에 골자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판매되는 전체 자동차중 저공해 자동차의 비율을 1998년에 판매차량의 2%, 2001년에 판매차량의 5%, 2003년에 판매차량의 10% 로 규정하였으나 이 규정 중에서 1998년에 판매차량의 2% 조항을 삭제한 2001년의 판매차량의 5%, 2003년에 판매차량의 10%로 수정한 규정이 1996년에 다시 발표 되었다.
이를 계기로 세계 각국이 전기자동차를 개발하였으나 시장성과 기술성의 부재로 인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이다.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차량구동을 전기 전동기와 엔진을 함께 사용하는 자동차로 엔진의 효율을 높힐 수 있고 배기가스의 저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감속 시와 제동 시에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회수 할 수 있어서 주행거리는 전기자동차에 비해 월등히 뛰어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