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인이 스포츠경제학 교수라면 학생들에게 가장 설득력 있게 스포츠 경제를 이해 시킬 수 있는 문제를 출제해 보시오.
2. 스포츠 슈퍼스타가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설명하시요.
본문내용
1) 프로골퍼 박세리의 사례분석
삼성이 스포츠 마케팅에 전력을 기울이게 된 동기는 박세리의 예상외 조기 활약이다. 박세리는 1996년 삼성물산과 계약을 맺으며 개인적으로는 세계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삼성에게는 박세리를 통한 국제적 브랜드인지도 상승이라는 효과를 얻은 계기가 되었는데, 이는 스포츠 마케팅의 본질인 상호이익(win-win)속성을 보여 준다. 원래 win-win 모델은 PR모델에서 다루어진 모델로서 매스 커뮤니케이션(공중 목표)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조직 목표) 사이에 win-win 지역이 있는 쌍방향 적 특색을 나타낸다는 모델로, 개인 커뮤니케이션은 공중과 조직 모두에 관계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으로서의 박세리와 조직으로서의 삼성은 win-win모델의 확대 wjrydd이 가능하다. 박세리의 삼성의 후원으로 1997년 LPGA 프로테스를 통과함으로써 통해 LPGA 에 데뷔하고, 삼성은 계약당시 LPGA 첫 승을 데뷔한 4~5 년으로 예상하고 그때까지를 투자 기간으로 삼았다. 박세리의 국제 스타로서의 조기 부상을 계기로 삼성은 미비한 그룹 내 스포츠 마케팅 업무와 조직을 재정비하고, 이에 대한 투자를 앞당겼다. 국내 언론은 당시 IMF 경제위기 체제하의 사회 분위기에 기여한 박세리 효과를 높이 평가하였다.(원우형. 박종민, 2001)
박세리의 기대 이상의 조기 선전은 그녀가 슈퍼 루키(super rookie)에서 슈퍼스타(super star)로 급성장했음을 의미하는데, 그 후원사인 삼성은 박세리의 활약과 더불어 스포츠 마케팅 분야에 있어서 초보자 (just beginner)에서 슈퍼 루키로 (super rookie)도약했음을 의미한다.
박세리의 스포츠 마케팅 형태는 전형적인 선수 개인에 대한 스폰서쉽의 형태이다.삼성은 박세리가 성장 가능성에 확신을 가지고 투자하였고, 결국 이 투자는 성공적으로 평가받았다. 박영주는 그의 논문에서 박세리 마케팅의 효과를 네 가지의 성과로 구분하였는데, 첫째 삼성의 기업 PR 효과가 컸으며, 둘째로 스포츠 스타의 우수한 성적은 기업의 주가와 연관성이 있는 등 무형의 홍보 이미지뿐만 아니라 실제적 기업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 셋째 스포츠 스타의 해당 스포츠 종목에 대한 국만의 이미지 변화와 더불어 산업적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 넷째 스포츠 스타는 기업의 이미지 개선뿐만 아니라 그들의 소속 국가 이미지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박영주, 2001)
박세리의 우승은 박세리 개인적인 부와 명예의 획득과 함께 국민에게 위안을 주는 역할을 수행했다. 데뷔 우승 당시 IMF 경제위기로 침체된 국내 분위기에 활력소가 되었으며 우리나라 국가 이미지 개선 등과 부수 효과가 창출되었다(매일경제, 199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