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의 제도적 기반 (체육 정책/행정)
- 최초 등록일
- 2007.01.17
- 최종 저작일
- 2006.06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우리나라의 체육 정책 / 행정에 관한 소개 입니다.
목차
제 1 절 체육정책의 변천
1. 1980년대 이전의 체육정책
2. 1990년대 중반까지의 체육정책
3. 국민의 정부 (1998~2002)
4. 참여 정부 (2003~현재)
제 2 절 체육행정 조직 및 단체
1. 중앙정부 체육조직
2. 지방자치단체의 체육조직
3. 서울올림픽기념국민생활체육진흥공단
4. 체육단체
본문내용
1. 1980년대 이전의 체육정책
1) 제3공화국 전
- 대학체육회를 중심으로 경기기술 향상, 올림픽 대회 참가를 통한 국위 선양, 다른 나라와의 스포츠 교류 등.
- 문교부의 담당부서(문화국 체육과)의 교육적 차원 체육행정 수행.
- 체육시설 : 서울운동장 야구장, 효창운동장, 장충체육관
2) 제3공화국
- 국민체육진흥을 국민 통합의 원동력이자 국가발전의 기본으로 인식(체력은 국력).
- 국민체육진흥법의 제정(한국 체육사의 중요 의미) 및 국민체육진흥제단의 설립.
- 국민체육진흥법 : 체육의 날과 체육주간 설정, 지방체육의 진흥, 학교 및 직장체육의 진흥, 직장운동경기부 설치, 국립종합운동장의 설치, 선수 보호 및 육성, 체육행사 주관의 지방자치단체의 보조 등.
- 종합적으로 체육연구 분야(철학, 기초과학, 지도자 육성)발전 미흡, 국력과시의 엘리트 체육 중점.
2. 1990년대 중반까지의 체육정책
1) 제5공화국
- 체육부문의 많은 관심 (스포츠공화국)
- 체육부 신설로 국민체육진흥의 본격화, 체육의 생활화, 체육을 통한 국민화합과 복지 증진,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의 개최 준비.
2) 제6공화국
- 88서울올림픽의 성공으로 국민생활체육진흥종합계획(일명 ‘호돌이 계획’).
- 국민생활체육협의회를 탄생시켜 국민생활체육 발전의 제도적 기반 구축.
- 호돌이 계획 : 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가 공동으로 생활체육진흥을 위해 추진하고자하는 모든 계획을 종합한 것.
: 사회 각계각층에 적합한 생활체육프로그램 제공, 국민체력 기준치 발표, 건강생활체조 개발 및 보급, 국민 여가활동 참여 실태 조사(1988년), 국민 생활체육 참여실태(1989년)를 조사.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