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2. 설화의 구분
(1) 영국 : myth, legend, folktale로 구분
(2) 우리나라 : 신화, 전설, 민담으로 구분
▶신화(myth) : 신성시되는 이야기(신화의 진실성과 신성성을 의심하지 않아야 생 명력 가짐)
목차
Ⅰ. 전래 동화와 설화란 무엇인가?
1. 전래 동화의 정의
2. 설화의 정의
Ⅱ. 설화와 전래 동화와의 관계
1. 설화의 의미
2. 설화의 구분
* 민담과 전래동화의 차이점
3. 전래동화의 특성
4. 설화의 특성
5. 전래동화의 유형별 분류
(1) 내용별
(2) 주제별
(3) 전래 동화의 기원에 따른 분류
6. 전래동화의 구성요소 - 사건, 인물, 배경
7. 전래동화의 내용적 특징
(1) 풍자
(2) 판타지
(3) 모방성
본문내용
1. 전래 동화의 정의
(1) 정의 - ‘동심을 바탕으로하여 꾸며진, 일정한 구조를 가진 옛날부터 전해오는 동화’
(2) 갈래
▶ 정착동화 : 구전되어 오다가 『삼국사기』,『삼국유사』같은 옛 문헌에 정착된 동 화로 한자로 기록되어 본래의 모습이 변형된 것이 많음.
▶ 구전 동화 : 현재까지 계속 구전 되어오는 동화
2. 설화의 정의
(1) 정의 - 한 민족 사이에 구전(口傳)되어 오는 이야기의 총칭.
Ⅱ. 설화와 전래 동화와의 관계
1. 설화의 의미 : 개인 창작물이 아닌 (1)민족적 집단의 공동 생활 속에서 공동심성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문자 기술 이전의 구전문학, (2)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
(1) 민족의 역사, 신앙, 관습, 세계관 및 꿈과 낭만, 웃음과 재치, 또는 생활을 통해 얻 는 교훈이나 역경을 이겨내는 슬기와 용기가 문학적으로 형상화됨
(2) 일상의 신변잡담, 역사적 사실을 전하는 이야기는 설화가 아님. 그러나 설화 중엔 사실 가장한 이야기 다수. 이것은 문학적 흥미와 교훈 때문에 존재
2. 설화의 구분
(1) 영국 : myth, legend, folktale로 구분
(2) 우리나라 : 신화, 전설, 민담으로 구분
▶신화(myth) : 신성시되는 이야기(신화의 진실성과 신성성을 의심하지 않아야 생 명력 가짐)
: 시간적 배경- 아득한 옛날, 공간적 배경- 특별한 신성장소
참고 자료
1. 최운식, 한국설화연구, 집문당, 1991.
2. 이상현, 한국아동문학론, 동화출판사, 1976.
3. 손동인, 한국전래동화연구, 정음문화사, 1984.
4. 최운식, 김기창 공저,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