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작품 분석
1.문학사적 의의
2.유토피아와 반(反)유토피아
3.예언적 측면
4.실험주의와 과학주의
본문내용
인간은 누구나 한번쯤 유토피아의 세계를 꿈꾼다. 그 세계는 희망의 세계요 행복이보장되는 시공간이다. 그러나 완전히 빛만의 세계가 없듯이 빛은 언제나 그림자를 동반한다. 빛이 있으면 그늘이 생기는 것처럼, 행복이 보장되면 자유가 없고, 자유가 보장되면 행복이 없어진다. 자먀찐은 SF식 풍자소설『우리들』은 작품에서 전체와 개인,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문제, 자유와 행복의 문제를 밀도 있게 다루고 있다.
전체주의를 풍자한 천재적 스타일리스트
1.일대기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자먀찐(Евгений Иванович Замятин (1884~1937)) 은 러시아의 소설가, 극작가, 풍자 작가로
...........중략......
1931년 자먀진은 작가가 작품 활동을 할 수 없다는 것은 사형 선고와 마찬가지라는 요지의 편지를 스딸린에게 보내 일시적인 출국을 허용해 줄 것을 요청했다.
스탈린 특유의 불가사의한 변덕과 고리끼의 협조 덕분에 그는 출국 허가를 받아 1932년 파리로 망명했다. 파리에서 자먀찐은 생활고와 병고에 시달리며 잡지사 일을 돌보기도 하고 장 르누아르의 영화 「밑바닥」의 대본을 공동 집필하기도 했다. 그는 만년에 역사 소설『천벌』의 집필에 주력했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1937년 3월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생략
참고자료
· 【참고도서】
· 「러시아 문학의 하이퍼텍스트」(평민사 2002발행 조주관) P321
· 「러시아 문학 입문」(월인 출판사 김규진)P198
· 「우리들」(열린책들 1996 석영중․이현숙)
· “자먀찐의 안티 유토피아”「중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9년」김세일
· “우리들의 신화적 구조 연구” 고려대학교 이현숙 석사 논문
· http://blog.naver.com/xiaozhen1005/100011669522
· http://blog.naver.com/edurussia?Redirect=Log&logNo
· http://memolog.blog.naver.co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