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본문학의 이해 수업에서
일본 신화(설화포함) 한국 신화를 비교한 것입니다.
열심히해서 A+ 받았습니다^^
목차
1. 서론
- 들어가며
2. 본론
1. 설화에 대하여
2. 한⦁일 건국신화의 비교
- <단군신화>와 일본 <창세신화(기기신화)>
(1) 공통점
(2) 차이점
3. 한⦁일 설화 속 여성의 모습
(1) 여성의 열등적인 존재
- 이자나미, 유화와 웅녀
(2) 태양의 여성 모티브
- 아마테라스, 해가 된 누이
4. 한⦁일 설화 속 동물의 의미 (인수혼인)
(1) 뱀(구렁이)
- <구렁이 부인(蛇女房)>, <야래자>
(2) 여우
- <콘쟈쿠(今昔)>, <여우누이>
3. 결론
- 나오며
- 참고자료
본문내용
2. 한∙일 건국신화의 비교
- 단군신화와 일본 창세신화(기기신화)
⑴ 공통점
한국과 일본이 고대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일본의 문화 형성에 한반도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양국 신화는 공통점이 많다.
① 하늘의 손(孫)
삼국유사의 고조선 단군신화를 보면, 환인의 서자 환웅이 천하에 자주 뜻을 두고 지상에 내려와 인간 세상을 구했다. 그의 아들 단군이 고조선을 세운다는 것은 한민족의 정신과 사상의 원류인 동시에 민족 문학의 모태가 된다.
한편 일본『코지키(고사기)』(이하 고사기) 니니기노미코토(이하 니니기)에서는 여러 신중 남매신이 (생략)
② 숫자 ‘3’과 그 소재의 의미
소재나 구성 또한 비슷한 점이 많다. 먼저 니니기가 지상으로 내려올 때, 아마테라스에게 받은 야사카니의 곡옥, 야타의 거울, 쿠사나기의 검의 삼종의 신기와 5부의 신들과 함께 하늘의 구름을 타고 강림하는데 여기서 등장하는 삼종의 신기는 환인이 지상으로 내려올 때 가져온 천부인 3개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삼`이라는 숫자는 수리학 상으로 모든 것의 가장 으뜸이 되는 수이다. 도덕경에서 도(道)는 1을 낳고, 1 2를 낳고, 2는 3을 낳고, 3은 만물을 낳는다고 말하고 있다. 3은 홀수이고 중간자이기 때문에 가장 으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오늘날 현대적인 시각으로 볼 때 1과 2가 대립되는 개념의 수라면, 3은 1과 2의 대립과 갈등을 무마시키는 상징적인 숫자가 된다. 이러한 연유로 고대로부터 3이라는 숫자는 숭상을 받은 게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그 시대에 가장 안정된 완벽한 숫자로 여겨짐이 아닐까.
니니기가 받은 삼종의 신기는 쿠사나기의 검, 야타야사카니의 곡옥이다. 그런데 환인이 가지고 (생략)
③ 강림의 장소
참고 자료
․ 노성환, 『일본 고사기』, 예전사, 1987.
․ 김화경, 『일본의 신화』, 문학과 지성사, 2002.
․ 박종성, 『구비문학, 분석과 해석의 실제』, 월인, 2002.
․ 문명재, 『일본 설화문학 연구』, 보고사, 2003.
․ 한국일본학회, 『일본 문학의 이해』, 시사 일본어사, 2005.
․ 김익두, 『한국신화』, 한국문화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