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표적 이별 시가인 가시리에 대한 작품분석과 논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Ⅰ. 서언
Ⅱ. <가시리>가 실린 곳
1. <가시리>가 실린 곳
2. 작자와 시대 문제
Ⅲ. 형태분석
1. 학자별 형태구분
Ⅳ. 어석상의 문제
1. ‘가시리 가시리 잇고’
2. ‘선면아니욜셰라’
Ⅴ. 정서의 양상과 어조
1. 화자의 태도와 정서
2. 의미구조와 정서
3. 양주동의 <가시리>평설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언
대표적인 이별시가라 할 수 있는 <가시리>는 『악장가사』『악학편고』에 전 노래가, 『시용향악보』에 한 노래구절이 기록되어 전하고 있으나 제작시기에 대한 기록은 어느 곳에도 없다. 양주동은 「정석가」「가시리」「청산별곡」등 <악장가사>소재 6편이 려대 소산임을 실증할 문헌적 자료는 없으나 형식·어법·내용·정서에서 려대의 노래와 맥락이 상통하다 하여 「가시리」등을 여대 가요로 단정하였다.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1955, 334면.
이병기는 이 노래를 고려속악 「예성강」전편으로 추정한 바 있었고 김동욱은 「가시리」를 시대가 불명한대로 고려의 민요로 분류하였다. 연의 구분, 후렴구, 감탄적 어휘, 율격 또는 음악면에서 검토할 때 여요적 특성이 강한 이 노래를 거의 모든 국문학 논저에서 고려가요로 포함시켜 다루는 데 별 다른 이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향가의 시대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시가 작품이 양산되었지만 「가시리」는 현대인이 가장 애호하는 고전 중의 고전으로 통한다. 문학적인 분석에 의한 평가여부와는 상관없이, 한민족의 정서를 가장 효과적으로 담아낸 절창이라고 모두들 추켜세운다.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 향가와 속요』, 태학사, 2003.
그 세부적인 양상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참고문헌>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1955,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 향가와 속요』, 태학사, 2003.
강대구, 「가시리 연구」, [청람어문학 14], (청람어문학회 95.7.)
정혜원, 「<가시리> 小考」, 『고려가요․악장연구』, 태학사, 1997.
임주탁, 『고려시대 국어시가의 창작․전승 기반 연구』,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5.
김선풍, “高麗歌謠의 分章形態素”, 국어국문학 55~57 합병호.
김명준, 『고려속요집성』, 다운샘, 2002.
姜憲圭, “「가시리」의 新釋을 위한 圄文學的 考察,” 국어국문학 62-63.
정병욱, “악기의 구음으로 본 별곡의 여음구,” 관악어문연구 제2집,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박병채, 高麗歌謠의 語釋 硏究(二友出版社, 1980).
서재극, "고려 노래 되새김질,“ 한국시가 연구(형설출판사, 1981),
김형규, 古歌謠註釋(一潮閣, 1965).
남광우, “高麗歌謠註釋上의 問題點에 관하여,” 高麗時代의 言語와 文學(형설출판사,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