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Microphone)는 일종의 변환기(Transducer)라 할 수 있다. 이는 음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변환기이며, 현대의 음향시스템에서는 필수적인 장비이다. 마이크를 사용하는 간단한 확성 시스템(Sound Reinforcement)을 구성해 보면, 마이크에서 수음된 음은 콘솔(Console)로 입력되어 적절한 크기(Gain)와 주파수보정(Equalization)을 거친 후 파워앰프(Power Amplifier)에서 증폭되어 스피커(Loudspeaker)로 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마이크는 변환원리와 픽업형태(Pickup Pattern), 주기능 등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 될 수 있다. 또한 음향시스템에서 마이크를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전기적인 특징들을 상세히 알아둘 필요가 있는데, 그 특징으로는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 출력레벨(Output Level), 출력 임피던스(Output Impedance), 자체 노이즈(Self-noise Floor), 왜곡(Distortion), 극성(Polar Response) 등을 들 수 있다.
그 구조는 음파를 받는 부분, 소리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부분, 전기 출력을 얻어내는 부분의 3단계로 나뉜다. 음파를 받는 부분은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마이크로 폰 대부분이 진동판형으로 되어 있어 음파의 음압변화를 한 차례 기계의 진동에 변환되고 다음 전기 음향 변환기를 동작시키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두 번째의 소리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부분은 기계 진동을 전기신호로 바로잡는 부분이다. 마이크로폰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부분인 전기 음향 변환 기구라고 부르는 부분이다.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콘덴서형과 다이나믹형의 2종류를 들 수 있다. 세 번째로 전기출력을 얻어내는 부분으로 전기음향변환기구의 전기 측 단자가 여기에 해당되며 마이크로폰의 출력 단자가 되는 부분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