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모티콘을 음운변동 규칙과 관련해서 설명
목차
1. 인터넷 용어의 특징으로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음운변동 규칙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2) 자음 동화
(3) 구개음화
(4) 된소리되기
(5) 사잇소리 현상
2. 대치가 일어난다.
3. 음운의 축약과 탈락이 많이 나타나고 생략 또는 첨가현상도 나타난다.
(1) 음운의 축약
(2) 음운의 탈락
(3)생략
(4) 첨가
4. 음운 변동규칙을 역으로 가는 것
본문내용
1. 인터넷 용어의 특징으로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음운변동 규칙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우리말에서 받침소리(끝소리)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뿐이다. 나머지 자음들은 이 중의 어느 하나로 발음된다. 인터넷 용어에서는 이 규칙에 따라 발음 된 소리들을 맞춤법에 맞춰 쓰지 않고 정말 소리 나는 그대로 쓰는 특징이 있다.
몇 가지 예를 들자면 “ 많이-마니, 좋아-조아, 싶어-시퍼, 물어봐도-무러봐도, 있어-이써, 맞아맞아-마자마자, 재미있어- 재미이써, 부엌-부억, 젊다-점따, 넓죽해-널쭉해, 옷에서-오세서” 등이 있다.
ex) ‘무슨 책 읽고 있었어?’ ㅡ> ‘무슨 책 일꼬 이써써?’
‘그 책 재미있지?’ ‘맞아맞아’ ㅡ> ‘그 책 재미이찌?’ ‘마자마자’
(2) 자음 동화
음절의 끝 자음이 그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에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 거나, 양쪽이 서로 닮아서 두 소리가 모두 바뀌는 현상.(자음 동화의 결과는 울림 소리(ㄴ, ㄹ, ㅁ, ㅇ)이다)
자음동화의 예로 “먹는-멍는, 국물-궁물, 몫만-몽만, 듣는-든는, 짓만-진만, 옷맵시-온맵씨, 있는-인는, 맞는-만는, 쫓는-쫀는, 밭만-반만, 놓는-논는, 밥물-밤물, 밟는-밤는, 읊는-음는, 없는-엄는, 담력-담녁, 남루-남누, 강릉-강능, 대통령-대통녕, 백로-백노→뱅노, 백리-백니→뱅니, 협력-협녁→혐녁, 신라-실라, 난로-날로, 물난리-물랄리, 닳는-달는→달른 ”등이 있는데 이러한 자음동화 규칙에 의해 발음 나는 소리들도 그대로 옮겨 적는다고 할 수 있다.
ex) ‘대통령이 미국에 협력한대’ ㅡ> ‘대통녕이 미국에 혐녁한대’
‘국물만 있는데’ ㅡ> ‘궁물만 인는데’
(3) 구개음화
받침의 ‘ㄷ’, ‘ㅌ’이 ‘ㅣ’모음 앞에 오면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구개음화의 예로 “ 해돋이-해도지, 굳이-구지, 곧이듣다-고지듣따, 같이-가치, 붙이다-부치다, 쇠붙이-쇠부치, 밭이-바치, 굳히다-구티다→구치다, 닫히다-다티다→다치다 ” 가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