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조에 따른 분류
① 다이나믹 마이크로폰(Dyamic Mic)
영구 자석 안에 코일이 감겨있어 진동판의 떨림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외부의 전원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내구성이 좋아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사용되며, 가격이 저렴하다. 하지만 외부 자기의 유도를 받으면 잡음이 생길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주로 노래방, 라이브보컬 타악기 등 음압이 높은 악기에 사용된다.
② 콘덴서 마이크로폰(Condenser Mic)
두 개의 콘덴서가 있어 음파가 콘덴서를 자극할 때 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전기 신호로 재생하는 원리로 영화, 녹음 작업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음질이 좋고 잡음이 적은 마이크이다. 코일이나 리본이 불필요하므로 진동판의 모양과 크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초기 제작된 콘덴서 마이크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고 고가였으나 요즘은 마이크 내부에 영구 충전 콘덴서가 있어 별도의 전원이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가격도 저렴하다. 단, 온도와 습도에 민감해서 내구성이 낮고 바람에 민감해 잡음과 치찰음이 발생하기 쉽다.
③리본 마이크로폰(Ribbon Mic)
리본 마이크는 벨로시티 마이크(Velocity Mic)라고도 하며 떨림판과 무빙코일 대신 주름진 얇은 금속 리본을 자기장 안에 매달아 음파가 리본에 도달하면 리본이 진동하면서 자기장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전압이 유도된다.
이 마이크는 리본을 사용하므로 음색이 매우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소리를 내지만 너무 민감해서 충격이나 급격한 음압의 변화에 약하다.
또, 리본마이크는 얇은 알루미늄박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고 소형화가 불가능하여 스튜디오의 녹음용이나 대화용으로 일부 사용하였으나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④특수 마이크로폰
• 바운더리 마이크: 압력대 마이크라고도 불리며, 보통 마이크와는 사뭇 다른 형태와 원리를 가지고 있다. 벽이나 바닥을 통해 반사되는 모든 음파가 같은 시간에 마이크에 도달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마이크 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반사판 위에 장착해야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