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패러디소설의 개념과 패러디 소설 양상을 허생전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래요.목차
Ⅰ. 서론Ⅱ. 패러디의 개념
1. 패러디의 개념
2. 인접 개념과의 차이
Ⅲ. 한국 현대 패러디 소설
Ⅳ. 패러디의 양상에 작품 적용시키기
1. 허생전의 패러디 소설의 상호텍스트성
1) 원텍스트의 서사구조
2) 패러디 텍스트의 모티프 변모 양상
① 이광수의「허생전」과 준비론적 민주주의
② 채만식의「허생전」과 진보적 리얼리즘
③ 이남희의「허생의 처」와 여성주의 탐색과 전통적 남성주의의 비판
3) 「허생의 처」의 문학적 의의
2.「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상호텍스트성
1) 구보형 소설이 가지는 텍스트 구조
2) 기법 패러디 양상
① 낯설게하기 (defamiliarization)
② 대화성 (Dialogisme)
③ 상호텍스트성 (intertextuality)
④ 메타픽션 (Metafiction)
3) 구보형 소설 현실 인식의 패러디 양상
① 박태원(仇甫)의 현실인식
② 최인훈(丘甫)의 현실인식
③ 주인석(구보)의 현실인식
4) ‘구보형’ 패러디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성
Ⅴ. 패러디 소설의 위상과 전망
Ⅵ.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패러디의 개념1. 패러디의 개념
넓은 뜻에서의 패러디는 전고(典故)나 인용을 포함하여 어느 작가가 전대의 다른 작가의 작품에 접촉하지 않았더라면 결코 나타날 수 없는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모든 영향과 모방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패러디 작가가 원텍스트에 대해 친화적 입장을 보이게 될 때, 패러디 텍스트는 원텍스트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승인과 내적 발화의 친화를 토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텍스트의 계승이나 의미 확장에 치중된다. 반면 패러디 작가가 원텍스트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보이게 될 때는 패러디 텍스트는 원텍스트의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며 원텍스트의 새로운 해석이나 비판적 개작에 주력하게 된다.
좁은 뜻에서의 패러디는 표준적인 사전적 정의에 의한 것으로 ‘원래의 작품 혹은 다른 관련된 작품, 인물, 사물, 혹은 속성을 희화하기 위해 다른 작품을 모방하는 것’이다. 이는 전통적인 비평적 관습이나 맥락과 상통하는 개념이다. 문학적 전략으로서의 모방에 대해 혐의를 가지고 다루었던 고전적 문학사에서, 유일하게 용납된 모방은 앞선 언술의 특성을 웃음거리로 만들고 낮게 평가하는 형태였는데, 패러디가 그것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조롱조의 모방에 국한되어 사용되던 기법적인 장치로서의 이러한 패러디를 좁은 뜻에서의 패러디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 날, 20세기의 새로운 이야기 스타일로서 현대 사회의 패턴과 관심, 심리적 관점을 반영하고 있는 패러디를 이야기하려면 보다 중립적인 의미에서 패러디의 개념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차이가 있는 반복’이라고 하는 것이 가장 생산적일 것이다. 여기서 ‘반복’이라고 하는 것이 과거의 풍요롭고 위대한 문학 유산과의 연관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차이’라고 하는 것은 작가의 ‘비평적 거리’이며 패러디의 의도일 것이다. 패러디는 의식적인 동기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문학 기법으로 인정되는 차용의 양식이며, 원텍스트와의 비평적 거리가 필수적이고, 반드시 조롱이나 풍자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참고 자료
※ 참고문헌* 송경빈,「패로디와 현대소설의 세계」, 국학자료원, 1999.
* 이미란,「한국현대소설과 패러디」, 국학자료원, 1999.
* 장양수,「한국 패러디소설 연구」, 이회, 1997.
* 김현실,「한국패러디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1996.
* 린다 허천, 김상구․윤여복 옮김,「패로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2.
* 퍼트리샤 워, 김상구 옮김,「메타픽션」, 열음사, 1989.
* 김명호,「열하일기 연구」, 창작과비평사, 1990.
* 나병철,「문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4.
* 강수진,「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패로디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 김봉진,「박태원 소설세계」, 국학자료원, 2001.
* 박태원,「소설가(小說家) 구보 씨(仇甫氏)의 일일(一日)」, 평인사, 1997.
* 오경복,「구보형 소설의 구조미학」,국학자료원,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