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요한시집과 비인탄생을 중심으로
장용학의 생애, 작품세계를 살펴보았습니다.
목차
1. 서론
2. 작가연구
2.1 생애
2.2 시대연구
2.3 문학적 특징
3. 작품연구
3.1 요한시집
3.2 비인탄생
4. 장용학 문학의 위상과 한계성
5. 결론
본문내용
1. 서 론
전후소설기라 불리는 1950년으로부터 1960년까지의 약 10년간의 문학사에서 장용학은 단연 눈에 띄는 작가이다. 이 시기는 한국전쟁으로 인한 의식의 불안과 사회적 혼란, 그리고 인간성의 상실로 인한 정신적 황폐화 현상들이 두드러졌고 문학 역시 이를 반영하여 전후의 상황과 부조리에서 온 허무주의와 불안을 근간으로 했다. 신경득, 『한국전후소설연구』, 일지사, 1983, p7.
특히 장용학은 서구의 전후사조인 실존주의에 영향을 받아 자유와 인간의 존재를 탐구하는 작품들을 발표해 대표적인 실존주의 작가로 평가되는가 하면 당시 소설에서 찾아볼 수 없던 독특한 구성과 기괴한 작중인물, 관념적인 서술로 인해 소설이 아니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는 특이한 작가이다. 본고에서는 그의 대표작인 「요한시집」과 「역성서설」의 분석을 통해 장용학 소설에 나타나는 전후소설의 특징과 그의 문학사적 의의 및 한계를 탐구하려 한다.
2. 작 가 연 구
2.1 생애
그는 1921년 4월 25일 함경북도 부령군 부령면 부령동 375번지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장지원으로 1884년생이고 모친은 박숙자로 1887년생이며 본관은 울진이다. 형 장용봉은 사업을 했으나 요절했고, 누나가 이북에 남아 있으나 생사는 확인되지 않았다.
1940년 3월 함경중학교를 졸업한 그는 1942년 와세다대학 상과에 입학했고 1944년 1월 20일 학병으로 일군(日軍)에 입대했다 해방을 맞았다. 해방 후 그는 잠시 청진여자중학교 교사로 재직하다 1947년 9월에 월남했다. 그가 문단에 나온 것은 1949년 12월 하순경 단편소설 「희화(戱畵)」가 연합신문에 게재되고 1950년에 단편소설 「지동설(地動說)」이 [문예] 5월호에 실리면서다. 그러나 처녀작은 1948년 9월에 탈고한 『육수(肉囚)』였다.
1949년 말 한양공업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게 된 그는 1951년 1월에 부산으로 피난했고, 1951년 11월부터 1955년 10월까지 무학여자고등학교에서 근무했다. 「사화산(死火山)」, 「미련소묘(未練素描)」, 「찢어진 윤리학의 근본문제」, 「인간의 종언」 등과 특히 문제작이 된 「요한시집 탈고는 1953년 8월경, 발표는 『현대문학』 1955년 7월호이다.
」 등은 이 무렵의 작품이다.
참고 자료
신경득, 『한국전후소설연구』, 일지사, 1983.
김윤식, 『한국현대문학비평사』, 서울대출판부, 1988.
고은,『1950년대』, 청하, 1989.
한국역사연구회 현대사 연구반, 『한국현대사 2』, 풀빛, 1991.
박동규, 「1950년대 소설의 변화」, 『한국현대소설사 연구』, 민음사, 1984.
방민호,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 향연, 2003.
구인환 · 조남현 · 최동호, 「한국문학과 실존사상」, 『현대문학』, 1990.5.
최용석 「한국 전후 문학에 구현된 현실 인식」, 푸른 사상, 2002.
장용학, 『장용학 문학 전집7』, 국학 자료원, 2002.
김영도, 「장용학 소설 연구」, 숭실대 석사논문, 1986.
김진기, 조미숙, 『한국현대작가론』,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김혜련,「탈출과 귀한, ‘인간’ 확인으로서의 글쓰기」,『한국전후문학연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2.
장용학,「비인탄생(非人誕生)」4회,『사상계(思想界)』, 1956.
방민호,「역사 철학적 알레고리로서의 장용학 소설」,『장용학 문학전집』, 국학자료원, 2002.
박창원,「장용학소설에 나타난 모더니티 연구」,『장용학 문학전집』, 국학자료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