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졸업논문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독교 사상’의 개념
2. 기독교와 현대시의 상관관계
3. 기독교와 현대시의 발전 양상
4. 김현승의 시와 기독교 사상
5. 윤동주의 시와 기독교 사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1910년대 - 자의식의 발견
1910년대는 갑오경장 이후의 개화기를 거친 후 현대문학의 발판이 되는 신문학 운동이 전개되던 시기였다. 한일합병 이후 일제의 독재 무단 치하는 정치적 암흑기로 조국의 주권이 일본에 빼앗긴 민족적 절망의 시기였다. 당시 우리 민족은 조국의 독립과 자유 회복이 전 국민의 열망이었다. 이것은 자아 인식을 발견하는 계기로 발전하였고 문학은 이러한 의식을 일깨우기 위해 계몽적 요소를 두드러지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일어난 신문학 운동은 개화운동의 계몽적 요소를 그대로 발전시켜 한층 더 강렬하고 통일된 민족의식을 드러내었다. 즉, 신문학 운동은 계몽적 요소를 문학으로 표출했다는 것이다. 『소년』, 『청춘』, 『태서문예신보』등의 종합잡지의 발간이 신문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이들 잡지와 함께 최남선과 이광수의 문단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들의 시에는 계몽의식과 민족주의 사상이 그 중심에 놓여 있다. 이들은 기독교 신앙인은 아니었으나 당시 기독교가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는데 중요한 매개체임을 자각하고 기독교를 하나의 사상으로 수용하였다. 문학을 통해 개화사상과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했던 이들에게 기독교 사상은 중요한 전달 역할을 담당했다. 즉 이들의 작품에서는 기독교에의 투철한 신앙심보다는 민족구원을 위한 휴머니즘적 구원 사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결국 계몽성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관념적인 것으로 머물고, 기독교 의식을 시적 구조에 의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한다. 이것은 당시 기독교가 그들에게는 종교라기보다는 서구의 신학문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일 것이다.
참고 자료
단행본
윤동주, (정본)윤동주 전집, 문학과 지성사, 2004
이건청, 윤동주:신념의 길과 수난의 인간상,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8
마광수, 윤동주 연구:그의 시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을 중심으로, 철학과 현실사, 2005
송우혜, 윤동주 평전, 푸른역사, 2004
김인섭, 김현승 시전집, 민음사, 2005
숭실어문학회, 다형 김현승 연구, 보고사, 1996
신익호, 기독교와 한국현대시, 한남대학교출판사, 1991
한영자, 일제 강점기 한국 기독교 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6
김병학, 한국 개화기 문학과 기독교, 역락, 2004
이길연, 한국 근현대 기독교 문학 연구, 국학자료원, 2001
신규호, 한국 현대시와 종교 : 기독교 편, 국학자료원, 2003
한홍자, 한국의 기독교와 현대시, 국학자료원, 2000
논문
설의웅, 시인 윤동주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0
박연숙, 윤동주 시에 나타난 기독교 시정신 변모 양상,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남기천, 윤동주 시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5
박이도,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기독교 의식 : 윤동주, 김현승, 박두진의 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4
신홍규,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기독교 의식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강미경, 한국현대시의 기독교 수용양상,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