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와 커뮤니케이션]문화주의와 구조주의
- 최초 등록일
- 2006.12.13
- 최종 저작일
- 2006.0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대중문화와 커뮤니케이션 시간에 작성한 레폿으로...
구조주의와 문화주의에 대해 살펴본 글입니다.
목차
1.문화주의
- 리처드 호가트
- 레이먼드 윌리엄즈
- 톰슨
2.구조주의
- 페르디낭 드 소쉬르
- 끌로드 레비 스트로스
- 롤랑 바르트
3.결론
- 감성의 구조 vs 구조
- 문화주의 vs 구조주의
본문내용
1. 문화주의
문화주의라는 용어는 현대 문화연구센터의 전 소장이었던 리처드 존슨이 세 이론가 -즉, 리처드 호가트, 레이먼드 윌리엄즈, E.P. 톰슨- 의 연구를 연관시켜 주는 의미에서 붙인 것이다. 1950년대 말과 1960년대 초에 이루어진 이들의 연구는 이 저자들의 특정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문화주의의 기반이 되는 업적들로 보며, 존슨은 이 연구를 연관시켜주는 어떤 특정한 이론적 유사성이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들은 각기 다른 방법으로, 자신이 물려받은 전통의 주요한 양상을 깨고 있다. 호가트와 윌리엄즈는 리비스주의의 비판을 시작했으며, 톰슨은 마르크스의 기계적이고 경제적인 형태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들을 함께 묶는 것은 한 사회의 문화 - 즉 문화의 텍스트적 형태나 기록된 행위들 - 를 분석함으로써, 그 사회의 문화적 작품과 실천 행위들을 만들고 소비하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행동과 사상의 유형을 재구성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는 문화의 다양성과 역동성, 서로 다른 문화의 충돌과 갈등 등을 부각시켰고, 또 구조주의가 문화의 조건을 이루는 사회 구조만을 강조하는 것을 비판하고, 끊임없이 창조하고 도전하는 인간 주체의 활동을 중시한다. 이들은 구조보다는 인간에, 이데올로기보다는 일상의 경험에, 지배 계급의 전략보다는 피지배 계급의 전술에 관심을 기울였다.
1) 리처드 호가트
1930년대의 노동계급의 문화는 ‘풍요롭고 충만한 삶’이라 할 수 있고 강한 공동체의식이 그 특징으로 민중들에 의해 만들어진 문화이다. 이것은 공동체적이고 자생적인 대중문화이다. 예를 들면 대중가요에 대한 노동계급의 선호를 이해하고 대중의 감정적인 요구에 만들어진 문화를 존중하였다. 이는 리비스의 엘리트 위주의 문화에서는 많은 발전을 가져온 것이다.
참고 자료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존 스토리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2장 문화연구 : 두 가지 패러다임
<문화연구 입문> 그레엄 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