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는 매스미디어의 홍수속에 살고 있다. 그 곳에서 수많은 인물과 수많은 종류의 관계를 보고 있다. 이것들의 원류는 바로 우리의 고전문학이다. 그리고 현재의 삶을 더 풍부히 알기 위해서는 과거의 삶을 아는 것 또한 중요하고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역사의 주체는 인간이다. 그 역사를 되돌아 보면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도 전통과 자존에 있어 중요한 의미라고 생각한다.
오늘날의 문학과 문화를 알기 위해 고전소설을 펼치는데 여기서는 소설《주생전》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주생전》의 대략적인 설명과 함께, 《주생전》에 나타난 인물을 권필의 시각에서 한번 살펴보고 고찰을 해볼 것이며, 애정소설이 지니는 특징인 사랑에 대해서도 권필의 시각에 입각해 체계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Ⅱ. 본론
1. 《주생전》의 줄거리
1) 작품구성
①발단
주생은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뛰어났지만, 과거에 실패하고 장삿길로 나서 여기저기를 돌아다녔다.
②전개
그는 우연히 어렸을 때 친구로 지금은 기생이 된 배도를 만나게 된다. 어느 날, 노 승상 댁의 딸 선화를 본 뒤부터 주생의 마음은 선화에게 옮겨 간다. 주생은 승상 댁 아들 국영에게 글을 가르치게 되면서부터 그리던 선화와 사랑을 나누게 된다. 두 사람의 관계를 안 배도는 주생의 배신에 괴로워하다 병들어 눕게 된다.
③위기
국영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주생과 선화는 만날 길이 없어져 서로 상사병에 시달린다.배도는 비극적 사랑의 슬픔을 간직한 채 죽는다.
④절정
사랑을 모두 잃은 주생은 외가의 장씨를 찾아간다. 그간의 사연을 안 장씨가 노 승상 댁에 사람을 보내, 주생과 선화의 혼인을 주선한다.
⑤결말
혼사를 몇 달 앞둔 어느 날, 왜적이 조선에 쳐들어와 명나라는 조선에 파병한다. 이때 주생도 명나라 군사로 조선에 오게 된 뒤, 선화와 영영 소식이 끊기고 만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