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회사채
- 최초 등록일
- 2006.12.09
- 최종 저작일
- 2006.04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재무관리 수업중 회사채에 대하여 조사한 보고서입니다.
목차
Ⅰ. 채권의 종류
Ⅱ. 회사채의 특성
1. 등록여부
2. 보장여부
3. 지급우선순위(seniority)
4. 원금상환계획
5. 임의상환여부
6. 재무약정
Ⅲ. 회사채의 발행방법, 신용등급 및 발행비용
1. 회사채 발행방법 및 발행조건
2. 회사채의 신용평가제도
3. 회사채의 발행 및 상환 매커니즘
4. 회사채의 발행비용
5. 채권시가평가제도
6. 채권의 등록제도
7. 채권 상장제도
Ⅳ. 회사채 발행의 장 ․ 단점
사례
본문내용
1. 채권의 종류
채권의 발행은 발행주체 및 한도가 관련법률에 의하여 엄격히 제한되는데 국채의 경우에는 국회의 동의, 회사채의 경우에는 유가증권신고서의 금융감독위원회 제출 등 일정한 절차를 거쳐야 발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발행된 채권은 증권거래법 등에 의해 유통시장(secondary market)에서의 자유로운 매매거래가 제도적으로 뒷받침되므로 유동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채권 발행자의 입장에서는 발행시장(primary market)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원활히 조달할 수 있다. 그리고 채권투자자 입장에서는 발행시장에서 인수하거나 유통시장에서 매입하여 이자소득 및 자본이득 등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시장에 매각하여 현금을 확보할 수도 있으므로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중요한 투자대상이 된다.
4) 이자지금방법에 따라서 할인채, 이표채, 복리채, 또는 무이표채와 이표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채권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할인채는 무이표채라고도 하며, 채권발행자는 만기까지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통화안정증권이 대표적인 무이채표에 속한다. 미국의 경우 무이표채의 발행자는 만기까지 실제로 이자를 지급하지 않지만 매년 이자를 지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이를 비용으로 처리하여 세금을 절약할 수 있다. 반면, 채권투자자인 뭉표채의 소유자는 매년 이자를 받지 못하더라도 매년 발생하는 이자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한다. 이러한 과세상의 특성 때문에 뭉표채는 개인 투자자에게는 인기가 없으나 미래의 확정금액을 선호하는 연기금 등의 비과세 투자자에게는 상당히 인기가 있다. 왜냐하면 연기금 등은 먼 미래에 연금을 지급해야 할 금액이 확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5) 표면이자의 변동여부에 따라 고정금리부채권과 변동금리부채권으로 구분된다. 변동금리부채권의 표면금리는 일정기간마다 조정될 수 있으므로 변동금리부채권의 가치는 표면이자가 어떻게 지급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변동금리부채권 중 가장 흥미로운 채권은 TIPS(Treasury Inflation Protection Securities)라고 부르는 인플레이션과 연계된 채권이다. 이 채권은 인플레이션의 크기에 따라 이자가 조정되고 심지어는 원금도 조정된다. 변동금리부채권에 대한 몇 가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채권투자자(채권의 소유자)는 표면이자지급일에 액면가격으로 채권을 상환할 수 있는 풋옵션(put option)의 권리가 있다. 둘째, 표면금리의 상한값과 하한값이 정해져 있다.
참고 자료
․ 김영숙, [재무관리론] (두남, 2004)
․ 박수웅, [재무관리론] (삼영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