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비자금융시장의 구조
- 최초 등록일
- 2006.12.07
- 최종 저작일
- 2006.11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한국 소비자금융 산업구조를 조사 하였습니다.
S-C-P 모형과 가격전략 비가격전략으로 나누어서 비교하였고,
시장의 향우전망과 해결책을 논하였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소비자금융업의 개요
2. 한국표준산업에 따른 분류 (KSIC)
Ⅱ. 본 론
1. SCP 패러다임
1) 구 조 (기업수, 진입장벽)
2) 행 동 (가격전략, 자본금조달 전략)
2. 구조지수
1) 상위 K사 집중률
2) H-H 지수
3. M & A
1) 아프로그룹의 흡수․합병
4. 소비자금융업의 수익성 결정 변수
1) 대손상각비의 반영여부
2) 부도율을 줄여라!
3) 제도권 금융기관과 상호 업무제휴 증진
Ⅲ. 결 론
1. 향후 전망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문내용
Ⅰ. 서 론
1. 소비자금융 산업의 개요
소비자금융업(대부업)은 기존의 제도권금융시스템(은행, 저축은행, 캐피탈) 에서
충족될수 없는 저신용자에 대한 여신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나아가 금융소비자를
불법사채 업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정부에 의해 현재 양성화 되가고 있는 과정에있다.
외환위기 이전에 가계대출부분의 상당부분을 담당해왔던 상호저축은행 과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는 거의 절반 정도가 퇴출되었고, 규모의 경제를 이루지 못함과 동시에 적절한
신용평가 시스템의 부재로 가계대출보다는 중소기업대출에 중점을 두어 왔다.
또한, 지난 5년간 가계대출의 절대적인 역할을 해왔던 신용카드사는 무리한 경영과
누적된 부실채권으로 인해 신용대출 규모를 크게 축소하고 있는 상황이며, 규모는
크지 않으나 지난 2~3년간 소액가계대출을 취급해 온 저축은행도 누적된 연체율로
인하여 신규 대출을 자제하고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소액대출을 희망하는 개인들은 기존의 제도권금융기관으로부터
소외되어, 차츰 불법사채업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사태가 지속되고
불법사채업자로부터의 피해가 양산될 경우, 이들처럼 소외된 계층이 처한 문제는 현재의
경기침체상황과 지속되는 개인별 소득수준의 양극화와 맞물려 큰 사회문제가 될 것이다.
참고 자료
소비자금융 민간백서, 한국대부소비자금융협회 & 한국경제질서학회, 2005.
우리나라 사금융시장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서울대대학원 석사논문, 김남훈, 2004.
사금융시장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박창식, 2003.
소비자금융시장의 현황과 대부업의 건전한 발전방향, 한국질서경제학회, 조성목, 2004.
일본 대금업 시장의 현황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임병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