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동양극장에 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06.12.07
- 최종 저작일
- 2006.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동양극장에 관한 작은 리포트입니다.
내용은 그리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나 주석을 달지 못한 점을 감안하여
가격을 낮게 책정했습니다.
목차
1. 서 론 - 극장과 동양극장의 설립배경
2. 본 론 - 동양극장의 시작.
3. 결 론 - 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1. 서 론 - 극장과 동양극장의 설립배경
연극의 4대 요소중에 극장무대가 앞자리에 놓일만큼 공연장은 연극 발전에 절대적 기여를 한다. 서양연극의 발전은 곧 무대기술의 발전이라 말할 만큼 극장은 연극창조의 요체인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연극이 일본이나 중국의 전통연극에 비해 세련미라든가 완성도가 뒤지는 것도 실내극장의 부진에서 한 요인을 찾을 수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더욱이 개화기 이후 서양문화의 영향속에서도 극장이 제대로 발전되지 못한 것이 우리 연극을 답보시킨 이유중의 하나였다.
극장이 발전하지 못한 이유는 첫째, 대중의 연극문화에 대한 인식부족에 있었고, 두 번째로는 개화와 함께 식민지시대가 펼쳐지면서 일본흥행업자들이 상영관 위주로 극장을 세워 착취수단으로 삼은데 있었으며, 세 번째로는 민족자본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데 있었다.
가뜩이나 야외놀이나 유랑극단 형태의 민속예술의 형태를 이어받은 우리의 근대연극이 극장의 절대 부족과 열악한 시설로 인해서 더욱더 떠돌이 습성을 지니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가령 신파극을 비롯해서 1920년대 이후 정통 신극의 경우 일본인 경영의 상영관들을 고가로 빌어 쓸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연극형식의 진전이 차단되고 또 지속적 공연도 어려웠을뿐만 아니라 수익상에 있어서도 적잖은 곤경을 치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연극인들은 이 극단 저 극단으로 자본주를 따라 이합집산했고, 그러한 연극인들의 행태는 직업화를 어렵게 만든 것이다. 적어도 연극이 전문화되려면 레퍼토리 시스템같은 것이 정착화되어야 하고 그것은 또한 장기공연 체제에서나 가능한 것이다. 몇 군데 영화관을 며칠씩 빌어 공연하는 방식으로는 도저히 직업화를 꾀할 수 없는 것이다. 사실 일본은 흥행업자들을 내세워 극장을 통해 한국공연예술인들을 착취의 대상으로 삼은 바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우리 연극인들은 조선시대의 예술인들처럼 유랑을 하나의 숙명처럼 받아들였으며, 가난과 천대와 수모를 끝없이 겪어야 했다.
참고 자료
박희정, 「동양극장의 대중극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6
유민영 저, 『한국근대극장 변천사』, 태학사, 1998
유민영 저, 『우리시대 연극운동사』,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