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 론
1. 선사시대의 예술
1-1. 구석기시대
1-2. 신석기시대
1-3. 청동기, 철기시대
2. 삼국시대의 예술
2-1. 고구려시대
2-2. 백제시대
2-3. 신라시대
3. 가야의 예술
4. 통일신라시대의 예술
5. 발해의 예술
6. 고려의 예술
6-1. 고려시대 미술의 성격
6-1-1. 고려청자
6-1-2. 고려불화
7. 조선시대 예술
7-1. 조선시대 예술의 특징
7-1-1. 분청사기
7-1-2. 백자
7-1-3. 산수화
Ⅲ. 결 론
본문내용
Ⅱ. 本論
1. 선사시대의 예술
1-1. 구석기시대
구
석기 시대의 미술은 생동하는 현실을 재현하는 직접적이고 순수하게 시각적인 인상을 재현하고 있는 사실주의 미술이다. 실제 보이는 바의 생생한 모습, 어떤 특정한 순간의 생명력이 응집된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선사시대 인간의 주된 관심사는 우선 무엇보다 생명 영위와 직결된 식량, 먹는 것의 확보였다. 그들은 아직 가축 기르는 법을 몰랐고 농사짓는 법도 몰랐기 때문에 식량은 주로 사냥에 의존 할 수밖에 없었다. 생명 본능과 의지가 우선이고 바로 여기에서 생명적 수단이 창조되었으며 그 창조 안에는 분명 심미 작용, 예술작용이 들어있다. 그러므로 선사미술은 원초적인 생명 본능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구석기시대의 예술은 총체적 생명력으로 파악되는 것이다. ▶ 그림 1 - 라스코동굴벽화
구석기시대인은 수렵채취 경제 양식의 소수집단으로 유동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원초적이며 실제적인 삶이 있을 뿐, 神의 존재나 자연의 섭리 차원의 사유가 기어들 틈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 구석기시대 인이 사냥하려고 하는 동물을 동굴 벽에 그렸던 것은 그 동물을 소유한다는 의미, 곧 실제 사냥과 바로 연결되는 행위였던 것이다. 그들은 우아한 선, 대칭기법과 화려한 색채사용의 높은 안목을 지녔지만 그들 그림의 진정한 목적은 미적 감각을 만족시키고자 한 것이 아니라 단지 식량이 되는 동물을 잡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그림들은 모두 수렵을 위한 주술적 차원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술가들은 심미사가 아니라 주술사였고, 예술은 사냥의 성공을 기원하기 위해 고안된 주술의 일종이었다.
1-2. 신석기시대
예술사상에 있어서 최초의 양식 변화의 대전환이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로 옮겨가는 시대에 나타났다. 사실적이며 생명감이 넘치는 표현 대신에 추상적이며 기하학적인 표현, 획일적으로 반복되며 고정된 기호처럼 보이는 표현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러한 경향이 주도되는 시기가 신석기 시대이다. 이제 미술은 생명의 구체적이고 생동하는 표현보다 사물에 대한 이념이나 개념적 파악과 표현이 두드러지게 되고 실제적인 대상의 묘사보다는 상징적인 표현이 전면에 나타나게 된다. 농경과 목축의 생활방식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한 곳에 정착하여 농사를 짓고 ▶ 그림 2 - 빗살무늬토기
동물을 길들여서 목축을 하게 됨으로써 구석기 시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교적 안정되고 자연과 물상에 대한 간접 체험을 하게 된다. 일정한 곳에 정착하게 됨으로써 점차 조직적인 사회를 형성하게 되고 삶의 형식이 조직화 되고 기능적인 주술대신에 종교적인 의식이 싹트게 된다.
참고자료
· 한국미,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 최준식 효형출판
· 한국미술사 방법론 문명대 열화당미술책방
· 한국미술사 김영주 나남출판
· 한권으로 보는 한국미술사 101장면 임두빈 가람기획
· 한국미술의 역사 김원용 시공사
· 한국미술사 속에는 한국 미술이 있다 박우찬 재원
·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