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와 색채디자인 -주거공간과 색채-
- 최초 등록일
- 2006.11.26
- 최종 저작일
- 2006.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소논문형식. 참고문헌 다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공간에 배치된 색의 의미
3. 공간에서 색채의 심리적인 영향과 그 활용
3-1. 주거 공간
3-2. 작업 공간
4. 나오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색은 우리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동시에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는 주변의 색에 영향을 받고, 자극을 받으며 살고 있다. 그리고 색은 그 주변의 색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천차만별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색은 빛과 향을 떠오르게 하거나, 심리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연상하게 하기도 한다. 특히 공간에 배치된 색은 그 공간에 들어선 사람들에게 새롭고 독특한 느낌을 경험하게 하기도 하고, 특정 공간을 더욱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디자이너는 이러한 색채의 활용을 통해 다양한 요소와 색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생활공간을 주거 공간과 작업 공간으로 나누어 그 활용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특정 공간에 배치되어 나타나는 색의 의미, 그리고 색이 공간에서 우리에게 작용하는 심리적인 영향을 통해 인테리어 공간 디자인에서 알아두어야 할 기본적인 색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제 단지 보기 좋고 편리한 인테리어 디자인을 원하던 시대는 지났다. 인테리어 공간에서 나타나는 색의 양상에 대해 분석하고 활용한다면, 인간의 생활을 더욱 편하고 보기 좋게 만드는, 동시에 실용적인 디자인의 목적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2. 공간에 배치된 색의 의미
우리는 공간 속에서 살고 있다. 우리가 어디에 있든 어디를 가든 우리의 눈앞에는 매시 다른 공간이 눈앞에 펼쳐진다. 그 만큼 우리는 우리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우리가 속해있는 공간의 구조와 특징에 막대한 영향을 받으며 살고 있는 것이다. 공간의 느낌을 좌우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우리가 살펴볼 색은 보는 동시에 그대로 인지되기 때문에 그만큼 큰 비중을 차지한다.
참고 자료
김학성(1997), 『디자인을 위한 색채』, 서울:조형사.
김현영 외 3명(2003), 『Color color color』, 서울:예경.
박상호(1993), 『색채계획』, 서울:효성.
박숙희(1983), 『기초 색채학과 디자인』, 경기:태학원.
베리, S.외 1명(1995), 『디자인과 색의 연출』, 김미지자(역), 서울:예경, 1997.
아사쿠라 나오미 외 1명(1996), 『예술과 디자인을 위한 색채 구성』, 이경희(역), 서울:미진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