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국의 전 근대사(고대~청)부분을 통틀어 발생하였던 농민반란의 성격에 대한 통념을부정하고, 재조명을 하고자 하는 글입니다. 많은 주석을 제시하여, 내용의 충실성에
만전을 기하였습니다. 중국의 사회-경제사 파트에서 특히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동양사에 관련된 전공, 교양과목에 제출, 참고하셔도 유용하리라 생각됩니다.
내용의 충실성은 목차만 보아도 잘 알 수 있을 겁니다.
목차
1. 서론 - 중국사에 있어 백성의 위치와 역할2. 중국인과 토지
3. 중국의 토지 제도적 변화
(1) 주(周)의 토지제도
(2) 춘추시대(春秋時代) - 토지 국유화의 파괴
(3) 전국시대(戰國時代) - 토지 사유제의 발생
(4) 한(漢)시대 - 토지 사유제의 확립과 발전
(5) 위진-남북조 시대 (魏晋-南北朝 時代) - 토지에 대한 국가 지배력 강화
(6) 송, 명-청(明-淸) 시대 - 토지 사유화의 정착과 발전
4. 명-청 시대 이전의 농민 반란
(1) 녹림과 적미의 난
(2) 황건적의 난
(3) 황소의 난
(4) 명-청 시기 이전 농민반란의 특징
5. 명-청 시기의 농민반란
(1) 만력제(萬曆帝) 시기 농민 반란
(2) 이자성의 난
(3) 태평천국의 난
(4) 명-청 시기 농민 반란의 특징
5. 결론
본문내용
인류가 지구상에 처음 등장할 때만 하더라도, 당시 지구상에 생존하고 있던 본능에 충실한 기타 포유류 등의 그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었다. 그러나 점차 인류는 직립보행(直立步行)을 통하여 양손의 자유를 얻었고, 이러한 양손의 자유는 도구의 발명과 사용을 가능케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 이라는 지구상 생물의 한 하위 개념에 불과하였던 위치를 순식간에 영장(靈長)의 단계에 까지 끌어올리게 해주었다.사실 이러한 변화는 ‘인간’ 과 ‘동물’이라는 인류 나름대로의 자의적 계급을 형성하였을 시기만 하더라도 아직, 인간 무리에 있어 계급은 존재하지 않았다. 물론 기타 영장류(靈長類)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리더’ 정도의 계급은 존재하였을지 모르겠으나, 그것이 지배층과 피지배층을 구분하는 지위로 보기는 어렵다.
그렇다면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면서 흔히 언급하는 본격적인 계급의 차이는 언제 나타난 것일까? 사실, 이에 대한 많은 설이 있다 하겠으나, 오늘날 통설(通說)로는 보통 농업기술의 발달에 따른 잉여 생산의 정도가 본격적인 계급 사회를 만들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통설을 전제로 한다면, 고대 4대 문명 중 하나인 황화 문명을 바탕으로 일찍부터 농경문화(農耕文化)를 발생 시켰던 중국의 계급 사회는 당시 유목-목축에 의지한 공동생활 집단의 그것에 비하여 훨씬 명확화 되었을 것이다. 즉, 중국 사회는 황화 문명을 통하여 등장한 하(夏), 은(殷), 주(周) 왕조를 통하여 기존부터 점차 분화되기 시작한 계급을 ‘부족(部族)’ 내지는 ‘국가(國家)’의 통제 하에 지배층과 피지배층으로써 극명하게 분화 되었던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부족’ 내지는 ‘국가’ 라는 영역적(領域的) 개념의 등장은 지배층의 생산욕구를 자극하여 더욱 많은 토지와 그러한 토지를 통하여 생산할 노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배층은 다시 다른 지배층의 그것을 빼앗거나 복속시키기 위하여 ‘군대’ 라는 조직을 만들었고, 그러한 군대를 통하여 타 지배층의 침입을 막는 한편, 그들이 소유하고 있었던 노동력에 대한 ‘보호자(保護者)’ 로서 자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 속에서 지배층에 예속되어 있었던 노동인구(勞動人口)들은 보다 나은 대우를 해주는 지배층을 요구하기 시작하였다. 즉, 이를 오늘날 고용주와 노동자 개념에 빗대자면, 좀더 나은 노동조건(勞動條件)을 요구하는 노동자 계층이 이미 이 시기부터 희미하게나마 등장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조병한 저, 『태평천국과 중국의 농민운동』일문사(1991)이춘식 저, 『중국고대사의 발전』신서원 (1992)
박원효 저, 『중국의 역사와 문화』고려대학교 출판부(1992)
서도정생 저, 변인석 역, 『중국고대사회경제사』한울아카데미(1994)
신채식 저, 『동양사개론』삼영사 (1996)
조강 외 공저, 윤정분 역, 『중국토지제도사』대광문화사 (1996)
신승하 저, 『중국근대사』대명출판사(1996)
다니가와 미치오 외 공저, 송정수 역, 『중국 민중 반란사』혜안(1996)
김택민 저, 『중국토지경제사연구』고려대학교 출판부(1998)
임계순 저, 『청사(청사)』신서원(2000)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현대 사회에서 지배와 피지배의 실체 7페이지
- 한무제와 고선지 24페이지
- 강좌중국사Ⅳ요약-명․청대 농민반란 6페이지
- 중국금융시장의 현재와 미래 13페이지
- 삼년산성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