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정치이념을 유교적 입장에서 분석해보았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정치 이념의 두 가지 양상
Ⅲ. 한국 정치 이념의 현황(문제점)
Ⅳ. 한국 정치의 발전을 위한 제언
Ⅴ. 맺음말
본문내용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것은 반 세기전의 일이다. 정부 수립 후부터 지금까지 한국 정치의 기본 이념은 인간의 존엄성 실현과 자유와 평등을 추구하는 자유민주주의를 확립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치문화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기존의 한국 사회를 지배해왔던 유교가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에서 충분한 숙고와 비판 없이 도입된 서구의 민주주의 제도와 이념은 우리 사회 내에서 상이한 정치이념과 목적들이 동시에 추구되어야 하는 이념과 현실의 괴리를 초래했다. 즉, 정치문화의 유교적 전통과 서구의 민주주의 이념이 서로 융합되는 과정을 통해 정치권력과, 정치지도자 그리고 국민은 민주주의 확립에 대한 명확한 구심점을 찾지 못해 왔던 것이다.
물론 경제 발전과 정치 민주화를 성취하였다는 점에서 한국의 현재 정치가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이론과 이념의 틀 속에서 설명되고 그 당위를 부여받을 수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제도와 절차 면에서의 정착되었다고 해도 실질적으로는 서구적 의미의 민주주의가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그러한 이면에는 유교의 논리와 구조가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비록 유교가 단절된 기간 동안 사회적 유기성과 정합성을 상실하여 파편화되었다고는 하나, 여전히 한국인의 가치관 속에 내재화되어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본 글의 목적은 아직까지도 공존과 융합을 지속하고 있는 한국의 유교적 정치문화와 민주주의 이념을 간략히 서술한 후, 이 두 분석대상의 융합이 한국 정치와 사회에서 현재 어떻게 표출되고 있으며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나아가 대안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데 있다.
참고 자료
1. 김석근외 공저,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인간사랑, 1999, 서울.
2. 김순규외 공저, 정치학의 이해, 박영사, 2000, 서울.
3. 김만규, 조선조정치사상연구, 인하대출판부, 1982, 인천.
4. 이병화, 한국민주정치론, 세종출판사, 2000, 서울.
5. 한정일, 한국정치의 이념과 실제, 일월서각, 1990, 서울.
6.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연구의 쟁점과 과제, 한울 아카데미, 2000, 서울.
7. 黃炳悳, 統一韓國의 政治理念, 民族統一硏究院, 1994, 서울.
8. 정치권력의 왜곡된 집중, http://hyunam.hanbat.ac.kr/%7Emd981055/hsp7.htm.
9. 로버트 A. 달. 다원민주주의의 딜레마, 인간사랑, 1990.
10. 채방록, 유학 - 전통과 현대화, 서광서, 1999.
11. 이극찬, 정치학, 법문사, 1999.
12. 함재봉, 유교 자본주의 민주주의, 전통과 현대, 2000.
13. 김병국, “이념적 지형 - 원칙론과 현실론,”, 한국의 도전과 선택, 나남,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