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문학사의 시대구분을 대략 6명 이상의 학자들의 이견을 정리하였습니다.
고전문학 듣는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주석과 참고문헌이 다 기재되어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기
2. 한국문학사 시대구분의 유형과 이견
3. 맺음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기
우리나라의 문학을 이야기하면서 문학사를 염두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조동일은 “자국 문화사 서술은 물려받은 유산을 총정리하면서 한 나라의 학문의 수준을 보여주는 의의가 있어 소홀하게 할 수 없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94, p.10.
라 하였다. 우리 문학의 의의를 역사적 흔적 속에서 조명해 보기위해서는 먼저 시대구분 문제에 부딪힌다. 위의 책, p.37.
근본적으로 시대구분과 범주에 관한 묻는 어떤 식으로 해결하든 만족스럽게 되기는 어렵겠지만. 시대구분은 역사 서술에서 필요불가결한 것이다. 이선영, 「한국문학사대계 편찬의 기본시각」, 토지문화재단 엮음, 『한국문학사 어떻게 쓸 것인가』, 2003 , p.19.
시대구분을 하지 않고서는 서술의 순서를 정할 수 없고, 역사의 전개를 설명할 길도 없기 때문이다. 한국역사연구회에서는 역사 서술에서 시대 구분이 지니는 의의와 과제에 관해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시대 구분의 일차적 과제는 역사 발전의 객관적 원리(합법칙성)를 밝히는 것이다. 즉, 인간 역사에 나타난 각 시대의 총체적 사회 구조의 내적 존재 법칙을 해명함으로써 각 사회 내부에 존재하는 모순 구조와 각 사회가 상호 구분되는 질적 차이를 밝혀내고, 그 모순이 어떻게 해결되어 한 시대가 다음 시대로 이동해 가는가 하는 운동 법칙을 밝히는 것이다…(중략)…시대구분의 보다 궁극적인 과제는 이와 같이 밝혀진 역사 발전의 객관적 원리를 기초로 하여 그 발전의 최종점인 현실 사회의 존재구조와 단계적 성격을 해명하고 현실의 사회적 모순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변혁 논리 창출에 기여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시대 구분은 역사 발전에 대한 과학적 역사 인식과 현실 변혁을 위한 실천적 현실 인식을 통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적 무기인 것이다. 한국역사연구회편. 『한국사강의』(제2판)
이처럼 문학사의 시대 구분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단순히 역사 서술의 편의적 필요나 기술상의 요구에서만이 아니라 역사를 인식하는 근본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해야 한다. 조윤제는 “국문학의 전 영역을 총망라하여 천유여년의 국문학사를 어떻게 시대를 구분하여 편록 할 것인가 하는 것은 중대한 문제다.” 조윤제, 『한국문학사』, 동국문화사, 1963, p.6.
라 하였고, 이병기는 “문학사의 방법론 중 가장 결정적이요 또 중요한 부분은 각 시대의 특징적 성격을 체계화하는 시대구분의 방법에 있다.” 이병기 · 백철 ,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959, p.10.
라고 하여 시대 구분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국문학사의 시대구분은 문학이 우리 문화 전체에서 어떤 위치와 구실을 구현했던가를 역사적인 맥락에서 살피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의의를 가진다.
참고 자료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94.
한국역사연구회편. 『한국사강의』(제2판)
조윤제, 『한국문학사』, 동국문화사, 1963.
이병기 ․ 백철 ,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959.
곽정식, 『한국 문학의 이해』, 신지서원, 2000.
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2004.
이병기 ․ 백철, 『표준국문학사』, 신구문화사.
조동일 ․ 서종문, 『국문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92.
고미숙, 「고전문학사 시대구분에 관한 몇가지 제언」, 토지문화재단, 『한국문학사 어떻게 쓸 것인가』, 2003.
이선영, 「한국문학사대계 편찬의 기본시각」, 토지문화재단 엮음, 『한국문학사 어떻게 쓸 것인가』,2003.
정하영, 「고전문학사 기술의 성과와 과제 」, 토지문화재단, 『한국문학사 어떻게 쓸 것인가』,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