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대시 강의에서 쓴 논문입니다.김춘수를 연구하는 분들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주석, 참고문헌이 들어가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2. 김춘수의 생애··`··················
3. 김춘수의 시작품
1) 초기의 시 경향 ······················
『구름과 장미』(1948) ~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1959)
2) 후기의 시 경향 (무의미시) ·············
『타령조, 기타』(1969) ~『쉰한 편의 비가(悲歌)』(2002)
4. 시사적 의의··`····················
5. 결론 - 김춘수의 시의 경향에 대한 나의 의견··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며김춘수는 흔히 ‘실험의식의 시인’ ‘존재의 시인’ 또는 ‘꽃의 시인’ ‘무의미의 시인’으로 불리어진다. 그는 1948년 첫 시집 『구름과 장미』를 발표한 후로부터 죽음을 맞는 순간까지 끊임없는 실험정신을 바탕으로 시적으로 많은 변화를 거듭해 온 시인이다. 그러므로 평론가 들에 의해 꾸준히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는 그의 시세계가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을 만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는 첫 시집 『구름과 장미』를 시작해서 무려 15권의 시집을 출간하였다. 이 밖의 세편의 소설과 다수의 산문집과 평론집 등이 있다. 특히 김춘수는 자신의 시작의도에 대한 오해를 고려해 시론은 물론이고 시집의 서문과 후기. 산문과 소설에 해설을 덧붙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김춘수의 작품은 초기와 후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가 있다. 이렇게 시기를 나누는 것은 그의 시에 나타나고 있는 특징적인 의미에 따른 것이다. 초기시는 대부분이 시인들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서정시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인간의 실존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후기시에서는 대상과 관념을 배제한 ‘무의미시’를 실험하였다.
이에 본고는 김춘수의 시의 경향을 연구할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므로 위에 제시한 기준으로 김춘수의 작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먼저 김춘수에 생애에 대해 알아볼 것이며, 본론에서는 김춘수의 작품을 초기와 후기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며, 그에 따른 시사적 의의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김춘수의 시의 경향에 대해 내 의견을 정리하면서 마치도록 하겠다.
2. 김춘수의 생애
시인 김춘수는 1922년 11월12일에 경남 통영읍 서정 61에서 아버지 김영팔과 어머니 허명하의 3남 1녀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가계는 엄격한 유교 집안이면서, 부유한 집안이었다. 또한 “선친은 서울 유학을 하고 동경도 다녀온 개화된 분”이 라는 기록이나 외가의 외사촌형이 동경 유학을 갔다는 기록 등에서 알 수 있듯이 대단히 지적인 집안이었다. 일제시대에는 보기 드문 유복한 환경에서 어린 김춘수는 행복한 유년시절을 보냈다. 김춘수는 1929년 당시의 통영읍에서 4,50리 떨어진 안정의 간이보통학교에 진학하였다. 서너 달 만에 통영공립보통학교로 전학하고, 2학년부터 졸업 때까지 계속 수석을 차지하였다. 1935년에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졸업 후 경성으로 유학을 하여 5년제
참고 자료
- 단행본김춘수,『김춘수 시론전집1,2,3』, 현대문학, 2004.
김춘수, 『김춘수 시전집』, 민음사, 1994.
김춘수, 『한국대표 시인 101인 선집 김춘수』, 서울: 문학사상사, 2003.
문흥술, 「고독한 무의미 시인이 낳은 빛나는 처용」,이남호,『문학앨범 김춘수』, 서울: 웅진출판사, 1995.
이혜원, 「김춘수의 초기시」, 송하춘 ․ 이남호 , 『1950년대의 시인들』, 서울: 나남출판사
양승준 외저, 『한국현대시 400선』1,2, 서울: 태학사, 1996.
신용협, 『한국대표시 대표작품 연구』, 국학자료원, 1998.
김두한, 『김춘수의 시세계』, 문창사 1992.
- 학위논문
윤지영, 「김춘수 시 연구-<무의미시>의 의미」, 서강대학교 석사,1998.
손영주,「김춘수 시 연구 - 초기시를 중심으로」, 서원대학교 석사, 2001.
이원영, 「김춘수 초기시의 낭만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1996.
정영신, 「김춘수 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 2001.
정명교 ․ 지주현, 「김춘수 시의 형태 형성과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2002.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현대시]김춘수의 시세계 (모든 것) 25페이지
[교육학]성숙주의,행동주의,구성주의 5페이지
4세(만3세) 교구제작계획서 - 촉감 교구 1페이지
4세(만3세) 교구제작계획서 - 교통 관련 수 영역 1페이지
파우스트-괴테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