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불교
- 최초 등록일
- 2006.11.15
- 최종 저작일
- 2006.01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한국 불교의 특징 두 가지에 대하여 썼습니다. (호국불교와 통불교)
목차
한국의 불교
▷불교의 도입
▷호국불교
▷통불교
본문내용
한국의 불교
▷불교의 도입
한국에서 불교문화를 받아들인 때는 삼국시대이다. 당시 받아들인 불교는 하나의 외래 종교였음에는 틀림이 없으나. 불교는 단순한 종교로서만이 아닌, 전반적인 문화현상으로서 민족문화의 모체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불교문화는 육로를 통해서 고구려에 전해졌고, 바다를 건너서 백제로 전해졌는데, 고구려에서 받아들인 불교문화는 주로 북방 중국의 불교문화였으며, 백제에서 받아들인 것은 주로 남방 중국의 것이었다. 그리고 신라의 경우는 처음 고구려로부터 불교가 전래되었고, 그 뒤로는 백제와 중국의 남조ㆍ수나라ㆍ당나라 등지에서도 전래되었다. 이렇게 하여 받아들여진 불교문화는 고대 신앙이나 고유습속 등 전래의 문화와 잘 융화되어 훌륭한 민족문화로 형성되어졌다.
▷호국불교
우리나라 불교의 또 다른 큰 특징이라면 호국불교를 들 수 있다. 호국불교란 부처님의 힘으로 나라를 지키는 불교 신앙의 한 형태이다. 우리나라의 호국불교적인 성격은 불교가 도입된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구려 때 당나라 태종이 침입하자 고구려의 승려 3만명이 승군으로 출전하였고, 신라에는 완광법사의 세속 5계, 황룡사 9층목탑, 인왕백고좌도량(인왕에 의한 국토 수호 목적), 문두루도량(주술적 성격)등이 그 예이다. 고려시대의 호국불교는 보다 주술적이고 의례적인 형태로 발전하여 재난을 극복하고 국가의 이익을 증진하기 위한 많은 도량을 열었다. 당시의 도량으로는 금강명도량, 금강경도량, 관정도량, 제석도량, 약사도량, 문두루도량, 인왕도량 등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몽고의 침입을 격퇴하고자 하여 만들어진 고려대장경과 승려로 편성된 항마군이라는 특수한 군대가 호국불교의 단적인 예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