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활성화전략(농촌활성화, 녹색관광)
- 최초 등록일
- 2006.11.15
- 최종 저작일
- 2006.05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도시와 농촌의 교류에 관한 레포트 입니다.
A+받았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1. 도농교류 의의와 필요성
1) 도농교류 의의
2) 도농교류의 필요성
2. 도농교류의 유형과 실태
1) 도농교류의 유형
2) 도농교류의 국내외 실태
3. 도농교류의 활성화 방안
1)기본방향
2)구체적인 추진전략
4. 도농교류의 성공적 사례
1) 농사체험을 통한 지역 활성화 사례
2) 농촌민박을 통한 외국의 지역 활성화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우리 사회는 농업과 농촌을 단지 식량생산 기지로 여기거나, 거기에서 더 나아가 ‘농업과 환경’을 논하는 것이 고작이다. 그러나 이제 시장경제원리가 적용되는 산업으로서의 농업을 위한 냉철한 규모의 경제이론만이 존재하고, 이에 시장경제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공익적 부분에 대한 무지는 널리 퍼져 있다. 그러나 농촌은 농민에게는 취업과 생활공간이지만, 도시인들에게는 몇 안 남은 휴식․휴양공간이 된다. 더구나 농촌은 국토를 유지․관리하며, 천연자원과 자연경관을 보전하고, 그리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그야말로 다면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시각은 지금까지 우리 농업과 농촌에 대한 온갖 왜곡된 인식과 평가를 건전하게 바로잡을 수 있다.
그 동안 도시인들에게 답답한 도시환경에서 벗어나 농촌의 자연환경, 녹지공간,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은 관광농원들이 담당해 왔었다. 특히 이는 초기의 농산물 직판농원 중심에서 점차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관광농원 사업들은 현재 여러 측면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가족단위가 이용할 수 있는 자연학습장․주말농장․동물사육장 등은 형식에 불과하고 단지 여관과 식당 등의 형태로만 성업 중인 곳이 많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특유의 새로운 도시와 농촌의 교류형태를 창출해내야만 한다는 점을 강조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이 글은 우리 농업의 다면적 기능을 검토하고, 농촌과 도시 교류의 새로운 유형을 창출하기 위해 Green-tourism(녹색관광)의 전략과 과제를 점검하고자 한다. 특히 여기에서는 다양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그러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보다 깊이 있는 접근을 쉽게 얻어내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범수(1999). 「그린투어리즘과 지역 활성화」 한국관광농업학회 ․ 한국산림휴양학회 공동학술발표 자료집.
김병률 외(2000) 「도농교류활성화를 위한 농소정협력사업2차년도 평가와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시현(2003).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형 농촌관광의 중장기 발전을 위한 대안 모색』.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송미령(2002). 「녹색교류를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2002년 도농녹색교류 심포지엄 및 관련자료Ⅱ』. (사)전국농업기술자협회.
유정규(2003). 「우리나라 농촌관광정책의 주요내용과 개선과제」 계간『농정연구』통권8호. 농정연구센터
유정규 외(2006) 「농업농촌의 이해」. 박영률 출판사
www. 1sa1chon.com
www.donong.co.kr
www.nongcho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