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응력․변형률곡선
콘크리트는 완전한 탄성체가 아니므로 응력과 변형률과의 관계는 강재와 달리 하중재하의 초기단계에서부터 곡선을 나타내며 엄밀히 직선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곡선의 형태는 콘크리트의 강도, 품질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폭의 곡선의 기울기가 강도가 낮은 콘크리트쪽의 기울기보다 급하다. 그리고,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하중이 작은 초기에는 거의 직선에 가까우나 하중의 증가와 더불어 점차 곡선으로 나타나고 있어 콘크리트는 훅크의 법칙(Hoke`s Low)이 성립하지 않는 재료, 즉 다시 말해서 비선형재료에 속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허용응력설계법으로 설계할 때는 콘크리트를 탄성체로 가정한다.
응력-변형률곡선에서 비교적 작은 하중을 가하더라도 잔류변형률(η)이 생긴다. 이것을 탄성변형률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전 변형률(δ)에서 잔류변형률을 뺀 것을 탄성변형률이라 하며, 탄성변형률은 하중을 제거하면 회복하는 변형률이다.
보통 콘크리트에서 잔류변형률에 대한 전 변형률의 비는 응력이 클수록 크고, 파괴강도의 50% 정도의 응력에서 약 10%정도이다. 콘크리트의 응력과 변형률과의 관계는 많이 발표되고 있으나, C.Bach의 관계식을 예로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 상수 (1/E)
m : 재료의 품질에 따라 정해지는 상수(콘크리트의 경우 m=1.11~1.16)
한편, 압축강도 120~425㎏/㎠의 보통콘크리트가 파괴에 도달할 때까지의 응력과 변형률과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 경우도 있다.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