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논문도 많이 참고했고 직접 답사하고 찍은 사진들도 본문 내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고분의 종류
1. 토광묘
2. 적석총
3. 석곽묘
4. 석실분
5. 전축분
6. 옹관묘
7. 화장묘
Ⅲ. 도읍시기에 따른 백제고분의 변화
1. 한성도읍시기 전기
2. 한성도읍시기 후기
3. 웅진도읍시기
4. 사비도읍시기
5. 백제묘제의 특징
Ⅳ. 석촌동 백제 초기 적석총.
1. 역사적 의의
2. 석촌동 고분의 묘제 검토
Ⅴ. 정리하면서
본문내용
Ⅰ. 들어가면서..
역사 공부를 하는데 있어, 중요한 유물과 중요하지 않은 유물은 없겠지만 묘제는 항상 중시되어오고 지금도 이것에 대한 연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역사가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체의 가변성과 외부로부터 받는 외재적 요인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 발전하지만 묘제만큼 보수적이고 잘 바뀌지 않는 유물도 드물 것이다. 이런 묘제자체의 보수성 때문에 묘제의 형태와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그 국가의 문화의 갈래, 발전, 쇠퇴 또한 살펴 볼 수 있기에 중요시 되어왔다. 묘제가 중시되는 또 다른 이유는 내부에 풍부한 유물을 남긴 경우가 많기에, 이에 따라 그 당시의 생활상, 의식세계, 사회풍습 등을 이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대인의 죽음에 대한 관념은 생의 종결이 아니라 또 다른 생의 시작으로 보았기에 현실의 연속선상에 있던 것으로 생각하고 무덤을 축조, 제작, 매장 하였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무덤을 만들고 부장품을 마련할 때 당대의 사회, 문화의 총체적인 것이 반영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백제는 도읍시기에 따라 묘제의 양식이 변화 하는데, 이에 따라 한성, 웅진, 사비 도읍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대별 묘제의 특징과 시대적 상황을 연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 당시의 시대적 배경아래 묘제의 변화가 있었기에 각 시기별로 개략적인 역사를 더듬고 이에 따른 고분의 전개 과정을 살펴 봄 으로써 백제 역사의 발전·쇠퇴의 과정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백제 고분의 전개 과정에서 그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석촌동 백제초기 적석총을 다녀왔는데, 석촌동 고분의 의의와 개관에 대해서는 제일 마지막 장에서 다루었다.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우선 고분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시기별로 구분하여 백제 고분의 형태와 변화 요인을 찾아본 다음, 석촌동 고분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Ⅱ. 고분의 종류
백제고분은 축조재료와 매장부의 특성을 기준으로 삼아 16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돌을 재료로 한 석축묘로 적석총, 횡혈식 석실분, 수혈식 석곽묘, 횡구식 석실분과 석곽묘로 세분할 수 있고, 흙을 파서 만든 토광묘는 순수토광묘, 목관토광묘, 목곽토광묘, 주구묘, 분구묘로 구분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백제의 무덤 이야기」 이남석, 주류성, 2004
○「백제의 고분문화」 이남석, 서경 2002
○「백제의 도성」 이형구, 주류성, 2004
○「백제고분 발굴이야기」 조유전, 주류성, 2004
○「고분」김기웅, 대원사, 1991
○「위레성 백제사」한종섭, 집문당, 1994
○「고고학으로 본 한국 고대사」
강인구, 학연문화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