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시조의 발생시기
ⅰ) 고려 말엽 발생설
ⅱ) 16세기 발생설
ⅲ) 사설시조의 발생시기는 주로 17세기의 생성기를 거쳐 18세기에 성행.
본문내용
Ⅰ. 시조의 개념과 시조문학의 전개
ⅰ) 시조의 개념
→ 시조(時調)란,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말엽에 완성된 형태가 나타나 조선 시대를 거쳐 지금까지 불리고 있는 우리의 대표적인 정형시이다. 향가에 이은 우리 시가 사상 두 번째 성과이기도 한 시조(時調)는 원래 단가(短歌)로 불려오던 것을, 조선 영조 때의 가객 이세춘이 <시절가조(時節歌調)>라는 이름으로 고쳐 부른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그 기본 형식은 초·중·종장의 3장 6구, 45자 내외의 정형으로 3·4(4·4)조 4음보가 기본 음수율이며, 종장의 첫 구는 3자여야 한다. 이러한 시조의 형식적 전통은 고려 가요를 거슬러 향가에까지 소급되는데, 3장 6구는 고려 가요의 분장 형태에서, 종장의 첫 구 3자는 향가의 후렴구 ‘아으阿耶’의 형태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