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실험 목적
PMMA의 현탁중합법으로 polymer의 양, 개시제의 양, 분산매의 양, 그리고 교반 속도를 달 리하여 그 결과에 따른 수득률과 결과물의 변화를 알아본다.
3. 배경 이론
1)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서스펜션중합이라고도 한다. 물에 녹지 않는 단량체를 크기 0.01~1mm정도의 크기로 물에 분산시켜 중합하는 공정으로서 분산상 내에서는 단량체가 괴상중합 방식으로 중합된다. 이 때 중합개시제는 단량체의 분산상에 용해되어 있어야 분산상내에서 중합이 일어난다. 분산상의 크기는 분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현탁제의 종류, 함량 및 교반에 큰 영향을 받는다. 현탁제로서는 폴리비닐알콜, 젤라틴 등의 수용성 고분자와 MgCO3와 같은 무기물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현탁 중합은 폴리스틸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중합에 사용되고 있다.
현탁중합은 고중합도 고분자 생성물을 쉽게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유화중합에서와 같이 분산제나 유화제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순도가 높은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이 때에 안정제는 불용성의 무기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중합반응이 끝난 후 중합체를 반응용기 또는 분산매와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 중합법으로 얻어지는 중합체는 입상이고 또는 취급이 용이하므로 공업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중합방법중의 하나이다.
2) 수득률
수득률 = = 34.9%
※ 본 실험에서 사용한 개시제 BPO양은 수득률에 포함하지 않았다. 이는 개시제가
PMMA의 말단기에 얼마나 포함되었는지 알 수 없으며 그 양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7. 결 론
이번 실험은 라디칼 중합을 이해하고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를 현탁 중합해 봄으로써 장단점을 파악해 보고 벌크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과의 차이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 PMMA를 중합하는데 있어서 현탁중합법을 선택하였으며 현탁 매체로서는 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물과 MMA가 잘 섞이지 않기 때문에 보통 분산된 단량체 방울(0.1~0.5mm)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안정제로 불활성인 분말고체인 PVA(poly vinyl alcohol)를 증류수에 녹여 현탁액을 만들었다.
또한 단량체의 자유라디칼을 형성하기 위한 개시제로 BPO(Benzoyl peroxide)를 사용하였는데 개시제는 단량체의 방울 중에 존재하므로 중합의 양상은 본질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