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고서 부제(논술 주제로 출제될 경우의 대책)북한 핵실험에 관한 문제는 국가와 민족공동체의 운명을 결정짓는 중대한 국가적 또는 국제적 이슈사항으로서 논술에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은 주제로 동 문제가 출제될 경우에는 요즘 출제 경향으로 보아서 단순히 “약술하라”라는 주제로는 출제되지 않을 것이다. 출제의 경향으로 미루어 유추해보면 동북아와 국제정세를 기술문으로 제시하고 그 안에서 북한과 중요한 문제관계에 놓인 나라들에 대하여 외교관계나 갈등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라는 유형으로 출제가 가능할 것입니다. 또는 북한 핵과 관련된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라는 일반적인 문제의 유형이 출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이 경우 어떠한 유형이 나오더라도 반드시 언급해야 될 사항으로는 북한의 핵실험의 성공 또는 진위여부의 중요성은 중요하지 않다는 점을 반드시 적시하고 핵실험이 갖고 올 대내외적 영향을 언급하고 국제적으로 북한에 대한 제제의 유형을 유엔헌장 7장 41조와 42조를 언급하면서 그 유형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향후에 나아갈 외교적 역할의 증대와 국내적인 대 북한 포용정책에 대한 부분적 수정에 대하여 언급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내용으로 작성을 하더라도 장문의 서술형이 아니라 작은 소제목을 활용하여 논술이나 보고서의 입체성을 기하여 주시면 고득점을 보장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끝으로 핵실험과 관련된 주제는 금년도에 어떠한 대학에서든 나올 빈도가 높고 대학의 국제학이나 또는 여타의 일반적인 과제로도 출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각종 논술이 예상되는 국가시험에서도 출제가 예상됨을 알려드리니 많은 활용과 좋은 참고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소다미 올림
목차
Ⅰ. 소용돌이의 장 - 동북아시아Ⅱ. 북한 핵실험의 의미와 파장
1. 북한 핵실험이 주는 의미
2. 북한 핵실험이 주는 국제·국내적 파급효과
1) 국내적 효과
2) 국제적 효과
Ⅲ. 유엔의 대응과 예상되는 현상
1. 유엔 헌장 제7장의 고찰
2. 북한에 대한 예상되는 제제의 양태
Ⅳ. 북한 핵과 관련된 향후의 대응책
1. 한미일 공조체제의 시급한 확보
2. 유엔결의안에 대한 존중과 결의안에 대한 신중한 접근
3. 중국과 러시아를 통한 대화 재개노력의 지속적인 전개
4. 북한과의 신뢰의 회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의 전개
5. 대북 포용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와 새로운 대북정책의 구상 절실
Ⅴ. 햇볕정책에 대한 단상을 하면서
본문내용
Ⅰ. 소용돌이의 장 - 동북아시아지금 세계는 전쟁 중이다. 모든 분야에 있어 무한경쟁과 보이지 않는 경쟁의 틈 속에서 때로는 현재의 진행형으로 물리적인 전쟁이 발발하여 아직 한창 전쟁 중인 지역도 있는가 하면 또 한편에서는 경제 전쟁이 세계의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20세기와 21세기에 있어 가장 국제적으로 중요하면서도 분쟁이 잦은 곳을 전쟁전문가들은 중동과 동북아시아를 들고 있다. 이미 중동은 문화충돌의 장이 되어 현재 국지전이 진행되고 있다. 종교 간의 갈등이나 유럽과 중동의 문화의 차이와 민족적인 갈등은 현 세기에서 촉발된 문제가 아니라 이미 오랜 역사 속에서 보여 온 것이며 지난 세기에도 작고 큰 전쟁이 끊이지 않아 우리에게 중동 국지전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며 특이 이러한 전쟁은 우리와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갈등관계에 놓여 있지 않음으로 크게 다가오지는 않고 있으며 다만 이 지역이 국제 유통 석유자원의 중요한 자원전략적인 의미가 있어 우리의 경제 상항에는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는 동북아시아의 분쟁은 실제적인 물리적 전쟁의 현상으로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다만 역사적으로도 서구 열강들의 대륙으로의 영향력의 확보와 대륙에서의 해양으로의 영향력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항상 외교적으로 중요한 소리 없는 갈등과 마찰 그리고 경쟁의 관계를 연출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특히 동서 냉전 시대의 종말과 더불어 구소련의 영향력이 국제 사회와 아시아에서 급격히 위축되면서 동북아시아에서의 패권국을 꿈꾸는 세력간의 알력과 마찰은 동북아를 소용돌이의 장으로 밀어 넣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 것이 바로 동북아를 둘러싼 일본과 중국의 역사왜곡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그리고 동북아를 항상 긴장으로 몰고 가는 또 다른 중요한 하나의 이슈는 한반도와 관련된 안보적인 위기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도 한반도에는 동서 냉정시대의 이념이 대립하고 있는 유일한 지역이며 특히 이러한 대립과 더불어 북한이라는 위협적인 변수에 대한 예측성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얼마 전(‘06년 10월 9일) 북한은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북한 발 통신을 인용하여 세계에 알렸다. 가히 핵폭발과 같은 사건이며 가장 안보의 위협을 받고 있는 우리는 물론이고 세계가 발칵 뒤집히는 놀라운 사건이었다. 이러한 북한의 “핵실험”과 “성공”이란 말은 그 진실을 넘어서 중요하고도 치명적으로 우리의 민족의 운명과 직결되는 것이다. 그 간에는 핵의 존재에 대한 의구를 한 정도였지만 실험은 핵을 전제로 하기에 지금까지의 모든 대 북한 정책과 핵 억제를 담당하는 유엔이나 미국의 정책적인 대안도 중대한 수정이 불가피하게 될 것이다. 즉각적으로 국제사회는 이에 대한 신중하고도 빠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반도에서의 핵은 우리 민족의 운명을 가늠하고 나아가 동북아의 국제질서 더 나아가 국제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은 가공할만하기에 국제사회가 요동을 치고 있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북한의 핵실험이 갖는 의미와 파장 그리고 국제사회가 이번 사건과 관련하여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와 이에 따른 우리가 해야 할 대응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