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화연구 이론 중 문화주의에 대하여 정리한 부분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문화주의
1.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2. 영국의 전통: 간략한 역사
3. 리처드 호가트 : 교양의 효용
4. E. P. 톰슨 : 영국 노동계급의 생성
5. 레이먼드 윌리엄스 : 장구한 혁명
6. 스튜어트 홀과 패디 화넬 : 대중 예술
7. 현대문화연구센터
Ⅲ. 한국에서의 문화연구 사례 -문화주의와 관련
1. 노동자 집단의 대중음악 실천
2. 청소년 하위문화의 공간과 스타일
Ⅳ. 맺음말
본문내용
오늘날 문화만큼 정의하기 어렵고 모호한 개념도 없을 것이다. 문화는 더 이상 단순히 고상한 예술이나 지식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이와 반대로 상업적이고 저급한 대중영화나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집합이 아니며, 특수한 신념이나 규범의 체계만도 아니다. 동시에 우리의 일상에 문화만큼이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도 드물다. 문화는 일상의 구석구석에 스며들었고, 우리의 의식과 사고 및 행동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문화는 이미 일상적인 삶 그 자체이다. 이렇듯 특정하게 구별이 가능한 영역이나 대상으로 분리가 불가능한 게 오늘날 문화의 특징이다. 또한 ‘문화는 은폐되고 산포된 채 그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있기에 문화의 본성이나 그 작동방식은 그 자체로도 활발한 논쟁점을 가지고 있다.
흔히 우리는 영화나 방송 같은 매스미디어를 대중문화라 부른다. 말하자면 대중문화를 매스커뮤니케이션과 동의어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부분적으로 타당하지만, 또한 타당하지도 않다. 매스미디어를 통해 산출되는 문화산물들-즉,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산물들-은 분명 대중문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나 대중문화는 그 이상의 부분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대중문화라고 부르는 현상은 산업혁명과 함께 진행된 공업화․도시화에 힘입어 등장한 대중사회에서 매스미디어에 의해 형성된 문화mass culture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고립․분산되어 있고 주체성이 없으며 비합리적이고 열등한 집단’이라는 경멸적 의미가 담긴 대중mass대신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함의를 가진 대중성the popular’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이 것은 ‘삶의 양식’이라는 문화의 개념을 연구에 수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 2003
원용진,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서울: 한나래), 2002 [1996]
이동연, 문화연구의 새로운 토픽들, (서울: 문화과학사), 1997
이동연, 대중문화연구와 문화비평, (서울: 문화과학사), 2002
현실문화연구편, 문화읽기: 삐라에서 사이버문화까지 (서울: 현실문화연구), 2000
벤 애거, 김해식 역, 비판이론으로서의 문화연구, (서울: 옥토), 1996
크리스 젠크스, 김윤용 역, 문화란 무엇인가, (서울: 현대미학사), 1996
그래엄 터너, 김연종 역, 문화연구입문, (서울: 한나래), 1995
존스토리, 박모 역,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서울: 현실문화연구), 1999 [1994]
스튜어트 홀, 임연호 역, 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서울: 한나래), 1996
김창남, 대중의 문화실천과 대중문화의 저항성 -노동자 집단의 대중음악 실천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여름통권 제4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