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제례악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보태평과 정대업 레포트와 함께 보시면 더 많은 도움 되실거라고 생각합니다.
목차
종묘제례악
1)사용악기
2)음악적 특색
3)일무
4)행례와 주악과의 관계
5)종묘의 악장
본문내용
종묘제례악은 조선 역대 임금의 신위가 있는 종묘에서 이들의 제사 때 쓰이는 제사음악이다.
종묘악은 문묘악처럼 등가와 헌가를 갖추고 있어 얼른 보면 아악같지만 기실은 속악이다.
이 종묘악에는 조고(祖考)의 문덕(文德)을 노래한 보태평(保太平)과 무공(武功)을 칭송하는 정대업(定大業)이 있다.
그리고 보태평과 같은 음계에다 고(苦)․응(應)의 두음을 첨가하여 7음으로 되어 있는 진찬이란 곡이 따로 있다.
정대업(定大業)과 보태평(保太平)은 원래 세종(世宗) 때 고취악(鼓吹樂)과 향악(鄕樂)에 기하여 만들어졌고, 처음엔 회례연(會禮宴)에 사용되었다.
이것이 종묘악으로 쓰인 것은 세조(世祖)때 부터였다.
세조 9년 이후 종묘제례악으로 정색 채택되기 이전에는 중국계 음악인 당악과 우리 전래의 음악인 향악을 섞어 쓰다가 세종 때 박연이 중국계 아악을 완비한 뒤로부터는 아악 일색으로 바뀌어지는 기현상을 나타냈다.
처음 세종때는 보태평은 11곡으로 임종궁 평조, 정대업은 15곡으로 남려궁 계면조로 제정되었는 데, 이 때는 제사음악이 아니고 조종(祖宗)의 공덕을 기리고 개국 창업(開國創業)의 어려움을 길이 기념하기 위하여 국초의 고취악(중국계 군악)과 향악을 참작하여 만들었다 한다.
※보태평 11곡
희문․계우․의인․형광․보예․융화․승강․창휘․정명․대동․역성 등
※정대업 15성
소무․독경․선위․탁령․혁정․신정․개안․지덕․휴명․순응․정세․화 태․진요․ 숙제․영관 등
이 중에서 지금까지 밝혀진 곡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융화 : 세조실록 악보의 융화와 같다.
고려의 속악 풍입송에서 발췌한 곡이다.
②순응 : 세조실록 악보의 10번째 곡인 혁정은 이 순응과 같다. 고려 시대 의 속악 만전춘에서 발췌한 곡이다.
③화태 : 세조실록 악보의 인출장인 영관은 화태를 축소한 곡이다. 화태는 고려 시대의 속악인 서경별곡의 원절과 후렴가락과 같은 곡이고, 서경별곡의 엽은 생략되고 있다. 서경별곡은 평조인데, 화태나 영 관은 계면조로 바꾸어 놓은 곡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