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맞은 레포트 입니당 ^^다산 정약용(1762~1836 )은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이다. 그가 집필한 책은 총 500권이 넘는데 우리나라는 물론, 외국에서도 이와 같은 예는 찾기 힘들다. 또한 그 내용 도 성리학에서 근대적인 기술 서적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가히 평가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한 저술을 하였다. 일찍이 정인보는 정약용을 가리켜 “선생 일인에 대한 연구는 곧 한국사의 연구요, 한국 근대사상의 연구요, 조선의 심혼의 연구이며 전 조선의 성쇠존멸에 관한 연구이다.”라고 말했다. 다산의 학문적 위상을 적절하게 표현한 것이다.
다산의 고민은 조선사회가 총체적인 위기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인식에서부터 출발했다. 정치인들은 노론이니, 소론, 남인이니 하며 정파로 나뉘어 정쟁에만 골몰하고 있고 학자들은 낡은 성리학의 관념론에 빠져 헤어날 줄 모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농민들은 지방관들의 부정부패와 지주들의 가혹한 수탈로 생존이 위태로워지는 지경에까지 이르고 있었던 것이다. 다산은 이 모든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껴안고 무엇이 올바른 해결책인가를 진지하게 탐구했다. 더 이상 사회체제로서 힘을 잃은 성리학과 양반 귀족들의 착취와 폐해에 대해 통렬하게 비판하고 대다수 농민 백성들을 위한 실질적인 경제, 토지, 정치개혁을 연구하고 주장하며 일생에 걸쳐 실천하였다. 또 선배실학자들이 일궈놓은 연구를 더욱 고치고 연구해서 실학사상을 발전시키고 집대성하였으며 목민심서, 경세유표 등 많은 저술도 남겼다. 그리고 다산 초당 등에서 제자양성에도 힘썼다. 이와 같은 이유로 그가 이루어 놓은 학문을 실학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폭풍 속에서 피어난 꽃
2. 실학자로서의 연구와 업적
(1) 토지(경제)개혁사상
(2) 정치사회개혁사상
3. 유학에 대한 연구
4. 기술 관료로서의 업적
5. 정조와 정약용의 관계 그리고 이용후생학
6. 천주교를 부정한 배교자였는가...
Ⅲ. 결론
다산 사상과 업적의 역사적 의의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산 정약용(1762~1836 )은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이다. 그가 집필한 책은 총 500권이 넘는데 우리나라는 물론, 외국에서도 이와 같은 예는 찾기 힘들다. 또한 그 내용 도 성리학에서 근대적인 기술 서적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가히 평가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한 저술을 하였다. 일찍이 정인보는 정약용을 가리켜 “선생 일인에 대한 연구는 곧 한국사의 연구요, 한국 근대사상의 연구요, 조선의 심혼의 연구이며 전 조선의 성쇠존멸에 관한 연구이다.”라고 말했다. 다산의 학문적 위상을 적절하게 표현한 것이다.다산의 고민은 조선사회가 총체적인 위기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인식에서부터 출발했다. 정치인들은 노론이니, 소론, 남인이니 하며 정파로 나뉘어 정쟁에만 골몰하고 있고 학자들은 낡은 성리학의 관념론에 빠져 헤어날 줄 모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농민들은 지방관들의 부정부패와 지주들의 가혹한 수탈로 생존이 위태로워지는 지경에까지 이르고 있었던 것이다. 다산은 이 모든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껴안고 무엇이 올바른 해결책인가를 진지하게 탐구했다. 더 이상 사회체제로서 힘을 잃은 성리학과 양반 귀족들의 착취와 폐해에 대해 통렬하게 비판하고 대다수 농민 백성들을 위한 실질적인 경제, 토지, 정치개혁을 연구하고 주장하며 일생에 걸쳐 실천하였다. 또 선배실학자들이 일궈놓은 연구를 더욱 고치고 연구해서 실학사상을 발전시키고 집대성하였으며 목민심서, 경세유표 등 많은 저술도 남겼다. 그리고 다산 초당 등에서 제자양성에도 힘썼다. 이와 같은 이유로 그가 이루어 놓은 학문을 실학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재영, 「조선의 인물 뒤집어 읽기」, 삼인, 1998정옥자,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일지사, 1998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1998
홍덕기 「茶山 丁若鏞의 土地改革思想 硏究: 閭田論을 중심으로」, p73~135, 전남대학교, 1990
이기백,「한국사시민강좌」, 일조각, 2002
유봉학, 김동욱, 조성을 공저,「정조시대 화성 신도시의 건설」,백산서당, 2001